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 박찬일 셰프 음식 에세이
박찬일 지음 / 푸른숲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내가 음식을 만드는 재주가 없어서인지 몰라도 박찬일 셰프의 음식 예찬론은 신기하고 재미있으면서도, 후반부 말미에 가서는 약간의 지루함을 느끼게 했다. 개인적으로 그의 어린 시절 음식에 대한 추억이 가장 맛있게 읽혔다. 아마도 음식 에세이에 '추억'이라는 강렬한 조미료가 빠지면 섭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게'를 참 먹어보고 싶다. 뜬금없이 무슨 '게'같은 소리냐 할 수 있겠지만 먹어보고 싶은 것을 어쩌랴. 제대로 먹어본 적이 없고, 정말 먹고 싶을 만큼 게는 맛있게 생겼기 때문이다. 사실 이 책에서 '게'요리에 대한 추억이 너무 감명 깊었는데, '제철 게살에 간장의 조합' - 서산 게국지 에피소드는 나의 '게에 대한 열망'을 더욱 불타게 만드는 기름과 같았다. 무심한 듯 조리해내는 서산 아주머니의 게국지는 작가의 진솔한 표현만으로도 침을 꿀꺽하게 만든다. 그런데 더욱 중요한 사실은 게국지 뿐만이 아니라는 것. 방대한 에피소드 속에 숨은 리얼한 먹거리들이 독자들을 유혹,,아니 위협한다. 야심한 밤에는 심히 위험한 수준이다.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라는 그의 주장에 걸맞게 책 내용의 절반 정도는 맛에 대한 내용이다. 글도 참 맛있게 쓴다 싶어서 '이 양반 요리사 글 쓰는 수준이 보통이 아니네..' 싶었는데 알고 보니 문창과 출신, 기자출신이었다. 이러한 다양한 삶의 경험이 그의 맛 추억과 절묘하게 어우러져 이 책이 나왔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고 보면 긴 인생에 있어서 꼭 한 우물만 팔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고. 어쨌든 글이 어찌 실제 미각에 비하겠냐마는, 그의 책을 접하는 독자들은 이 책만 읽고도 그 요리들의 실제 맛을 70-80%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만큼 리얼하니까. 요리에 있어서 그는 묘사의 달인이라 부를만하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요리 레시피들은 "내가 무슨 요리를.." 하면서도 살짝 그 장을 접어놓게 한다. 그나저나 월계수 잎 같은 것은 어디서 사지?

 

 음식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 음식에 대한 추억이 고픈 사람 / 요리사 / 음식 여행을 계획 중인 사람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요리하고픈 사람 / 입맛 없는 사람들은 꼭 이 책을 읽어보시라. 그리고 내가 이 책을 가장 맛있게 읽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았는데 다음과 같다.

 

 차를 타자. 이왕이면 혼자가 좋을 것 같다. 음식여행을 시작하는 것인데, 여행 중간중간 이 책을 읽으면서 꽂히는 음식이 있다면, 그 음식이 있는 곳을 향해 엑셀을 힘껏 밟으면 된다. 추억의 절반이 맛이라고 하지 않은가, 그 추억의 절반을 채우기 위해 지금이라도 떠나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