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장선하 옮김 / 책만드는집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과 바다

 

 서둘러 인터넷 창을 켜고 '티뷰론'을 검색했다. 단순히 노인이 잡은 물고기가 정말 상어였는지, 입이 뾰족한 상어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사실 상어일 것이라는 생각은 못했고 돌고래 종류가 아닐까하는 추측은 하고 있었는데 참 의외였다.

 

 전성기가 지난 노인이 혼자 배를 이끌며 잡으려 했던 것은 단순히 큰 물고기였다. 하지만 노인이 낚은 것은 더 이상 일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물고기를 잡고도 지킬 수 없다는 '무기력함'이었다. 노인은 바다를 '여자'처럼 소중히 대했지만, 그 여인은 끝내 노년이 된 한 남자에게 마지막 운을 주지는 않았다. 그는 바다를 여자로 생각함과 동시에, 그 여자를 두려워 하기도 했던 것 같다. 혼자 있으면서도 끝없이 혼잣말을 통해 그 두려움을 이겨내려 했던게 아닐까. 바다 위에 자신의 나약한 운명을 내놓은 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고. 그래서인지 힘들 때 마다 늘 곁에서 돕던 소년을 그리워하던 모습은 더욱 안타깝게 보여질 수밖에 없었다. 무력한 노인과 외로운 노인이 하나로 겹쳐 보였기 때문에.

 

 노인은 대략 물고기를 잡는데 2-3일을 바쳤고, 그 물고기를 잃는데 다시 2-3일을 바쳤다. 애써잡은 그 큰 물고기는 잡은 보람도 없이 사라졌는데 사실 진짜 사라진 것은 어부로서의 노인의 자존심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래도 놀라웠던 것은 어찌되었든 그 큰 물고기를 잡아보기는 했고 상어들 또한 많이 죽였다는 것이다. 노인으로서 그 정도의 성과라면 그래도 박수 받을 만한 일 정도는 된다고 생각한다. 용기와 노련미가 깃든 정신력의 승리였기 때문에.

 

 이런 생각도 해보았다. 노인은 분명 상어를 잡았지만, 본인은 그 물고기가 상어였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만약 상어라는 것을 알았다면 도중에 그냥 포기하고 배를 돌렸을지도 모른다. 모르는게 약이라는 말이 쌩뚱맞게, 새삼 떠오른다.

 

 개인적으로 노인이 물고기에게 사과하는 장면은 아직도 여운이 남는다. 애써 잡은 물고기가 상어 밥이 되자 노인은 본인의 삶은 탓하지 않고 단지 물고기에게 사과만할 뿐이었다. 연륜만큼 미안함도 많이 느낄줄 아는 노인이었다. 왜 이렇게 이 부분이 가슴에 남아있는지 모르겠다.

 

 평소에 책을 많이 읽으려 노력하지만, 정작 이 유명한 작품을 이제껏 읽어보지 못했다는 점은 크게 반성할 일이다. 나와 같은 사람이 또 있다면 반드시, 지금당장 노인과 바다를 사서(빌려서) 읽어보길 바란다.

 

#되도록 사서 보기를.. 값이 저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