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으로 읽는 인문학 클래식 - 당당하게 살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
이현성 지음 / 스타북스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가 현제를 살아가면서 옛것으로 부터 어떤 지식을 얻고자 할 때 흔히 인용되거나, 도움을 받는것이 고전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의 고전으로 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참으로 많다. 이 책 "교양으로 읽는 인문학 클래식"역시 우리에게 친숙한 중국 고전 15권을 선별하여 그속에 나타나는 지도자의 모습이나 그들의 교우 관계나 인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하고 있다. 집필자가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듯이 '경영자 관리자 또는 각계 지도자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따라서 흔히 인문학 서적이라하면 인생의 가르침, 삶을 살아 가는 방법등등의 이야기가 있을거라 생각한다면  조금 당황스러울것 같다. 나 역시 그런 내용인줄 알고 책을 펼쳤으니, 그래서 생각하기에 따라서, 경영관련 서적이 될수도 있고 인문학적인 서적이 될수도있는 중간적 위치에 서 있는 책이라 할수 있을것 같다.
책의 내용을 간략히 들어다 보면 지도자가 가지고 있어야 할 덕목이나 자세에 대하여 저자는 한비자, 정관정요 속에 나오는 왕과 신하의 대화 속에서 저자는 지도자가 가지고 있어야할 여러가지 요소들을 뽑아내어 소개하고 있다, 아니면 제갈량집에 나오는 제갈량의 부하 통솔 방법이나 인재를 보는 눈등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던 부분은 삼십육계에 대한 이야기였다. 많이 들은 이야기이고 또한 일상에서 가끔 사용하는 문장이었지만 사실 삼십육계의 전부에 대하여,그리고 그런 비법이 나온 연유에 대하여 자세한 부분을 알수 있어 좋아던것 같다.
또한 저자는 역사서에서 얻는 가치가, 일정부분 지도자의 자리에있는 사람들의 자아 형성에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하여 '좌전' '사기' 삼국지' 등을 통하여 얻을수 있는 지혜를 소개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마음가짐-책에서는 처세와 방법론으로 -을 '관자''안씨가훈'등에서 예를 들어 이야기 해 주고 있다.
고전은 읽을수록 또 그 깊은 의미를 이해 할수록 그 속에서 주는 교훈에 대하여 새삼 감탄하거나 옷깃을 여미게 만든다. 그러나 그 방대한 서적을 다 마주 할수 없을 때, 우리는 이런 서적을 통하여 그 깊이에 한 발 다가가는것도 좋은 교양을 쌓는 한 방법이 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