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천국, 하버드
멜라니 선스트롬 지음, 김영완 옮김 / 이크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세상이 모든 진리가 모여 구축된 가장 높은 상아탑. 많은 이들이 하버드를 말하지만 그 안에 속하지 못한다. 그저 바라보기만 할 따름이다. 그래서일까. 그곳은 한없이 높기만 한,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곳처럼 여겨지곤 한다. 공부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라는 이들이 모여 있는 그곳에서 학문 이외의 것을 상상할 순 없었다. 하지만 그곳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학이었다. 그것도 현 자본주의 질서의 중심을 이루는 미국에 위치한 대학. 그저 우러러 보기에 급급했기에 나는 이 간단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었다. 그곳의 학생들이 겪어야 하는 경쟁이 대학생으로서 내가 겪고 있는 그것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흡사하다는 것에 대해서 지금껏 나는 단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저 부러웠다. 나에게는 그것만이 존재했다. 그것이 내가 하버드에 대해 가질 수 있었던 느낌의 전부였다.

하지만 하버드에 입학한 이들이 모두 행복하고 성공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 책은 하버드를 만나 실패한 수많은 인생 중 하나를 조명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아닌 제 3세계에 속했던 이들. 그들은 여느 학생들이 그러했듯이 하버드에 입학함으로써 자신들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길은 저절로 펼쳐지는 것이 아니었고, 특히 미국의 문화와는 전혀 다른 문화를 지닌 에티오피아 사회에서 공부했던 시네두에게는 더욱 그러하였다. 최고라고 믿었던 자신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미련 없이 꺾이어 나갔다. 처음 맛본 공부에서의 좌절은 그녀가 지난 날 경험했던 불행했던 경험들과 얽히어 그녀를 괴롭혔다. 그녀는 쓰러져가는 자신을 붙들어줄 누군가를 필요로 했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자신의 마음을 여는 법을 배우지 못한 그녀에게 남아있는 것은 자기 자신 뿐이었다.

베트남 출신의 트랑은 시네두와는 달리 모든 면에서 완벽했다. 그녀는 시네두의 천국이었지만, 동시에 모든 이들의 천국이기도 했다. 그녀는 그 천국을 혼자 소유할 수 없음에 다시 한 번 좌절했다. 그리고 그 좌절은 그녀 자신을 겨우겨우 붙들어매고 있었던 단 한가락의 끈을 끊어버리는 것으로 이어졌다.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하버드는 어떠한 체계도 갖추고 있지 않았다. 하버드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본질을 망각하고 상업화해가고 있는 우리 사회의 대학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하버드는 자신들의 문제를 왜곡하고 은폐함으로써 하버드를 꿈꾸는 수많은 이들에게 핑크빛 환상만을 심어주었을 따름이었다.

옮긴이는 하버드 대학사회를 바라보며 우리 나라 대학생들의 안일한 모습을 염려한다. 공부는 하지도 않으면서 등록금 인상 반대 투쟁 따위나 하고 있다는 식의 문구가 조금은 눈에 거슬렸다. 물론 대학 사회는 진정 공부를 원하는 이들을 위한 곳이어야 한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은 보다 많은 낙오와 도태로 이어진다. 이들을 위한 어떤 사회적 안전망도 없이 경쟁만을 강요하는 것은 결코 옳다고 할 수 없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대학 간판이 인생의 전부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는 하버드에서와 같은 모습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지 않나 생각된다.

오히려 나는 학교의 주인이 학생이어야 하며, 교육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야기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수의 엘리트를 양성하는 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금전적,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또한, 학습에 대한 어떠한 의지도 존재치 않는 이들에게 학문에 대한 허위 의식만을 가득 품게 만드는 사회 역시도 변화해야 한다. 이는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 중 하나인 평등의 실현을 위해 중요하며 궁극적으로 다양성에 기초한 안정적 사회를 위하여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을 '제3 세계의 망해버린 나라'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도 못내 마음이 걸린다. 물론 베트남은 경제적으로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다. 하지만 우리와 다른 사회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번영하지 못했다고 하여 이러한 표현으로 한 국가를 묘사하는 것은 경제결정론적 오류이며 동시에 지나친 엘리트주의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완의 천국, 하버드
멜라니 선스트롬 지음, 김영완 옮김 / 이크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세상이 모든 진리가 모여 구축된 가장 높은 상아탑. 많은 이들이 하버드를 말하지만 그 안에 속하지 못한다. 그저 바라보기만 할 따름이다. 그래서일까. 그곳은 한없이 높기만 한,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곳처럼 여겨지곤 한다. 공부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라는 이들이 모여 있는 그곳에서 학문 이외의 것을 상상할 순 없었다. 하지만 그곳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학이었다. 그것도 현 자본주의 질서의 중심을 이루는 미국에 위치한 대학. 그저 우러러 보기에 급급했기에 나는 이 간단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었다. 그곳의 학생들이 겪어야 하는 경쟁이 대학생으로서 내가 겪고 있는 그것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흡사하다는 것에 대해서 지금껏 나는 단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저 부러웠다. 나에게는 그것만이 존재했다. 그것이 내가 하버드에 대해 가질 수 있었던 느낌의 전부였다.

하지만 하버드에 입학한 이들이 모두 행복하고 성공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 책은 하버드를 만나 실패한 수많은 인생 중 하나를 조명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아닌 제 3세계에 속했던 이들. 그들은 여느 학생들이 그러했듯이 하버드에 입학함으로써 자신들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길은 저절로 펼쳐지는 것이 아니었고, 특히 미국의 문화와는 전혀 다른 문화를 지닌 에티오피아 사회에서 공부했던 시네두에게는 더욱 그러하였다. 최고라고 믿었던 자신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미련 없이 꺾이어 나갔다. 처음 맛본 공부에서의 좌절은 그녀가 지난 날 경험했던 불행했던 경험들과 얽히어 그녀를 괴롭혔다. 그녀는 쓰러져가는 자신을 붙들어줄 누군가를 필요로 했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자신의 마음을 여는 법을 배우지 못한 그녀에게 남아있는 것은 자기 자신 뿐이었다.

베트남 출신의 트랑은 시네두와는 달리 모든 면에서 완벽했다. 그녀는 시네두의 천국이었지만, 동시에 모든 이들의 천국이기도 했다. 그녀는 그 천국을 혼자 소유할 수 없음에 다시 한 번 좌절했다. 그리고 그 좌절은 그녀 자신을 겨우겨우 붙들어매고 있었던 단 한가락의 끈을 끊어버리는 것으로 이어졌다.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하버드는 어떠한 체계도 갖추고 있지 않았다. 하버드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본질을 망각하고 상업화해가고 있는 우리 사회의 대학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하버드는 자신들의 문제를 왜곡하고 은폐함으로써 하버드를 꿈꾸는 수많은 이들에게 핑크빛 환상만을 심어주었을 따름이었다.

옮긴이는 하버드 대학사회를 바라보며 우리 나라 대학생들의 안일한 모습을 염려한다. 공부는 하지도 않으면서 등록금 인상 반대 투쟁 따위나 하고 있다는 식의 문구가 조금은 눈에 거슬렸다. 물론 대학 사회는 진정 공부를 원하는 이들을 위한 곳이어야 한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은 보다 많은 낙오와 도태로 이어진다. 이들을 위한 어떤 사회적 안전망도 없이 경쟁만을 강요하는 것은 결코 옳다고 할 수 없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대학 간판이 인생의 전부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는 하버드에서와 같은 모습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지 않나 생각된다.

오히려 나는 학교의 주인이 학생이어야 하며, 교육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야기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수의 엘리트를 양성하는 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금전적,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또한, 학습에 대한 어떠한 의지도 존재치 않는 이들에게 학문에 대한 허위 의식만을 가득 품게 만드는 사회 역시도 변화해야 한다. 이는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 중 하나인 평등의 실현을 위해 중요하며 궁극적으로 다양성에 기초한 안정적 사회를 위하여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을 '제3 세계의 망해버린 나라'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도 못내 마음이 걸린다. 물론 베트남은 경제적으로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다. 하지만 우리와 다른 사회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번영하지 못했다고 하여 이러한 표현으로 한 국가를 묘사하는 것은 경제결정론적 오류이며 동시에 지나친 엘리트주의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