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시절, 나는 끝내 2등이었다. 그런 내게 두번째 아이는 사라진다는 꺼림칙한 제목의 <괴담>은 제목 그 자체가 내게 강한 끌림을 주는 작품이었다.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나의 가치관을 조롱하는 듯한 책의 표지를 넘겨 젖혔다. <괴담>은 사회비판적인 책이다. 동시에 우리 자신도 잊고 지낼만한 내면 세계에 내재되어 있는 깊은 심연의 밑바닥까지 낱낱이 들춰내는 책이다.

 

 

책에서 등장하는 괴담은 새롭다:

 

'연못 위에서 형제가 사진을 찍으면 둘째가 사라진다. 연못 위에서 1등과 2등이 사진을 찍으면 2등이 사라진다. 연못 위에서 첫 번째 아이와 두 번째 사이가 사진이 찍히면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

 

 

학창시절에 떠돌았던 전형적인 괴담과는 사뭇 다른 내용이다. 잘 알려진 콩콩 귀신 이야기만해도 2등이 1등을 옥상에서 밀어내 1등이 죽는다. 억울한 1등은 거꾸로 죽은 자세 그대로 2등을 찾아다닌다. 이렇듯 전형적인 괴담 속의 2등은 항상 못된 아이, 나쁜 아이였다. 하지만 방미진의 <괴담>에서는 다르다. 그녀는 우리 모두가 2인자 콤플렉스에 사로잡혀 있다는 전제 하에 피만 튀기지 않지 살벌한 전쟁터나 다름 없는 학교 배경을 소개한다.

 

 

신비로운 음색의 성악을 뽐냈던 인주의 사체가 연못에서 발견 되면서 아이들은 인주의 죽음을 2등은 사라진다는 괴담과 엮어버린다. 실은 인주를 질투하고 시기했던 연두와 지연은 괴담을 이용해 1인자로 우뚝 서고자 하지만, 정작 그 괴담에 사로잡히고 만다. 친구의 죽음 직후에 그들 마음에 자리하는 것은 슬픔이 아니다. 오로지 여전히 1등이 될 수 없을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그리고 어떻게 하면 1등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다.

 

 

하지만 이 외에 <괴담>의 여러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인물들 모두 처음부터 자신이 없었다. 누가 '있어서', 누구 '때문에' 그들이 두 번째 인것이 아니고, 그들이 그들 자신을 두 번째로 생각하기 때문에 거기서 그치는 것이다. 사실, 욕망으로 가득찬 눈을 씻고 보면 세상에 1등, 2등은 없다. 학교는 A등급 소고기를 찍어내듯 A등급 학생을 찍어내는 공장이 아니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을 강요하는 사회는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것을 망각하게 만든다. 더욱 끔찍한 것은 이런 현상이 아이들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주가 사라지자 연두와 지연의 부모는 남몰래 묘한 기쁨을 느낀다. 끝없는 경쟁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지독하게도 잘 담아내었다.

 

 

언제나 학업의 스트레스에 지쳐있는 아이들은 쉽게 괴담에 동요하고 이용당한다. 그들은 사회에 나가서도 아마 쉽게 흔들리는 불안정한 어른이 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 이렇게 타락해버린걸까. 어린시절의 우리는 달랐다. 그저 호기심에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과정 자체가 기쁘고 신났고, 친구를 마주보고 앉아 가식없이 대할 수 있었다.

 

 

 

지금의 우리는 말한다. 사실 등수에 처음부터 연연해 하지는 않았다고. 성취감이 언제나 누군가의 인정(認定)에서 부터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세상은 언제나 1등만을 기억했다고. 간발의 차이로 정상을 향했던 2등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만다고. 우리도 사랑 받고 싶고, 부러움의 대상이 되어보고 싶다고. 우리는 그럴 자격이 없는 것이냐고.

 

 

변명이다. 사회가 만든 '괴담'의 덫에 꼼짝없이 걸려든 우리가 하는 변명이다.우리는 겉으로 보이는 것에는 지나치게 신경을 쓰면서도, 정작 우리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관심 밖인 경우가 많다. 마음에 시기와 질투가 자리하고 싶으면 믿고 싶은대로 믿게 되는 것 같다. 또한 유혹의 손길에 금방 사로잡힌다. 사람의 욕심에는 끝이 없다. 만족 또한 없다. 사람들에게 인정받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우리를 파국으로 치닫게 하는 악마의 꼭두각시로 만드는 건 아닐까. 학창시절에 공부만이 전부는 아니다. 친구의 의미에 대해, 개인의 가치관과 자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한다. 결국, 개인이 바뀌면 사회도 바뀔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바뀌면 아이들도 바뀔 수 있지 않을까? 이제 우리 스스로가 변해야 할 때다. 우리 스스로가 쳐 놓은 덫을 벗어 던질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