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읽어주는 남자 - 오페라 속에 숨어 있는 7가지 색깔의 사랑 이야기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2
김학민 지음 / 명진출판사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오페라를 실제로 한 번도 본적인 없다. 그러나, 클래식을 좋아하기 때문에 음반은 몇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역시 오페라의 시각적인 생동감, 알아들을 수 없는 한계등 때문에 오페라에 대해서 친숙하지는 않다.

이책을 산 동기는 이러한 나의 상황에서 시쳇말로 요즘 인기가 있다는 오페라 관련 책을 고르다 보니 사게 되었다. 오페라에 관심을 가져보기 위해서. 그런데, 이 책은 오페라의 줄거리를 쉽게 설명하고 있으나, 어디 그런 책들이 한 둘인가?

그렇다면 이 책의 강점은 무엇인가? 오페라의 줄거리 중에서 사랑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사랑과 인간형을 분석한 것인가? 내 생각에는 분석 정도는 안 되는 것 같고 지은이의 개인적인 해석을 늘어놓은 것 같다. 그런 해석들이 뭐 깊이 여운이 남지도 않는다. 억지로 갖다 붙이 해석 같다.

또한 나에게 있어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사랑 이야기는 오페라 밖에서도 충분히 있는, 좀 심하게 얘기해서 TV 연속극에서는 비일비재한 사랑 이야기가 마치 오페라이기 때문에 거창한 사랑이나 되는 듯이 서술하고 있는 점이 마음에 안든다.

이 책대로라면 TV 연속극에 나오는 별 잡다한 사랑 이야기도 뭐 나름대로 의미를 갖다
붙일 수 있지 않을까? 더구나, 오페라 보고 싶게하는 그런 내용이기 보다는 오페라를 보지 않는 사람들에게 유명한 오페라에는 이러한 내용들이 있더라 정도로 밖에 다가오지 않는다.

왜 이런책이 베스트셀러 축에 끼는지 알 수가 없다. 작가는 오페라를 어려워 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는 하지만, 내 생각에는 10중 8-9는 '뭐 오페라가 이런 거구나'하는 정도로 끝날 것 같다. 한 마디로 깊이가 있지 못하고 심심풀이 땅콩정도 되는 책같다.

언제나 그렇듯이 우리나라에서는 클래식 관련해서 깊이있는 책들이 부족한 것 같다. 단순히 문회한이 읽어도 이해할 수 있는 교양서적, 즉, 베스트 셀러를 겨냥한 그런 책들이 난무하는 것 같다.

나는 클래식에 관심이 있어서 관련 서적을 많이 보는 편이다. 한결같이 느끼는 것은 그저 수필 수준의 책 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번역서는 말도 안되는 번역이 난무한다.
어째서 우리나라에는 Maynard Solomon과 같은 작가가 없는 것인가? 아쉬운 우리나라의 예술 수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