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똥 여우 웅진책마을 111
송언 지음, 허아성 그림 / 웅진주니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정형화된 이야기에만 익숙해서일까, 내용들이 전반적으로 당황스러웠다.


옵니버스식 전개로, 이야기 똥 여우가 세상과 단절되어 살려 하던 곰 가족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이야기 똥 하나, 이야기 똥 여우)

여기까지는 흔하지만 납득이 되는 이야기 였는데, 이야기 똥이 하나씩 풀릴수록 이상하다.


(이야기 똥 둘, 검은 독수리와 꼬마 개구리)

꼬마 개구리는 우물 밖으로 나가고 싶어하지만 어른들은 반대한다. 하지만 개구리는 검은 독수리를 만나 세상 밖을 탐험하는 자유를 얻는다는 내용이다.

어른에게는 익숙한 전개방식과 내용이다. 뻔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자유라는 한 가지 주제만을 놓고 내용을 전개했다는 점, 기승전결이 무난히 나온다는 점에서 여기 나오는 이야기 중 수작이라 할 수 있다.


(이야기 똥 셋, 어느 시궁쥐 이야기)

나를 혼란에 빠뜨린 주범이다. 시궁쥐 삶의 비참함을 보이고 싶었던 걸까? 이야기를 끝까지 읽고 나서 작가가 이 이야기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찾을 수 없었다. 혹시 그게 작가가 의도한 바였을까? 이야기란 본디 듣는 이가 넋을 놓고 듣기만 하면 된다, 주제는 필요없다, 이런 뜻이었다면 이도 훌륭한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내 입장에서는 왜 이런 이야기를 만들었는지 모르겠으며 어린이들에게 익히기에 우울하기만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 똥 넷, 호랑이 대왕과 어린 여우)

역시 주제나 교훈을 알 수 없는 이야기다. 여우의 재치를 보여준 일화일까. 아이들이 읽기에는 용서를 동물들의 이야기로 재미나게 푼 것일까. 무지한 내게는 그냥 여우의 머릿속 생각을 쭉 읊어준 느낌이 강하다.


(이야기 똥 다섯, 직박구리 엄마의 사랑)

엄마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무난한 동화였다.


(이야기 똥 여섯, 너구리네 부엌에서 벌어진 일)

아씨의 일곱 동무를 패러디한 느낌의 이 동화는 역시 무난하게 흘러간다.

외로운 너구리가 주방도구들과 친구가 된다. 너구리는 더 이상 쓸쓸하지 않다, 끝.




종합적으로 봤을 때 이야기가 무난하면 별 감흥이 없는 뻔한 이야기이고, 이야기가 특이하면 살짝 괴기스러운 내용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여러 책들에 지나치게 익숙해진 탓이 아닐지. 아동의 눈으로 보면 다를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