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우리의 하늘이었다 아르볼 N클래식
패트릭 네스 지음, 로비나 카이 그림, 김지연 옮김 / 아르볼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내게 들어온 아름다운 이책은 읽기 전에 책의 삽화에 매료되어 책장을 이리저리 넘기며 강상을 다한 후 읽게 되었다.

 


무채색의 화면 가득 고래와 바다의 그림은 너무 멋졌고, 여러장에 걸친 무채색 삽화는 어릴적 동화인듯 동화 아닌듯 읽었던 세밀한 시계탑 그림이 인상적이었던 '휴고'라는 책을 떠오르며 추억을 더듬었다. 이또한 어른 동화의 이야기가 전개 될까하는 기대감으로 책장을 넘겼고 책에 빨려드러가면서 작가의 고래시점에서 쓴 아이디어 발상에 감탄하며 인간으로서 반성이 되기도 했다.

 우리는 지구상 만물의 영장임을 주장하며 이 아름다운 환경을 짖밟고 사냥하고 지배한다고 생각했지만 고래의 시각에서 보았을때 얼마나 미개한지를 엇보며 공감하지 아니할 수 없었다. 주인공이 밧세바를 통해 예언과 복수를 위해 온 몸받쳐서 항해하지만 나약한 드미트리우스 인간을 포로로 관리하면서 평화와 지금 알렉산드리아 선장을 따르며 '토비윅'악마를 무찌르고자 하는 마음이 드미트리우스로 인해 밧세바 스스로를 바라보게 되는 깨달음을 얻게된다.

 고래세계에서의 권력과 저이 패배에 따른 낙인 등 고래 사회를 통해 인간사회를 되짚어 보는 경험을 하게 해주었다.

 


 밧세바는 비록 열여섯 어린 여자고래이지만 현실적인 부적합에 항의 할줄도 알고 연민도 있으며 도전적이기도 하고 파멸이 아닌 평화주의자임을 알수 있었다.

 

 가슴이 먹먹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가슴 따뜻한 책이였다. 우리가 한번이 아닌 자꾸 손이 가는 책이 있는데 이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