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숨은 왕 - 문제적 인물 송익필로 읽는 당쟁의 역사
이한우 지음 / 해냄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망월>

둥글기 전엔 늘 더디 둥긂을 한하였더니

둥근 후엔 어찌 그리 쉬이 이지러지나

서른 밤 중에 둥근 달은 단 하루 밤뿐이라

평생의 심사 모두 이와 같은 것을

 
안가의 사노로 판결을 받고 추노꾼을 피해 다니던 송익필이 지은 시 중 한 편이다.

수많은 제자를 키워내고 내노라 하는 문인들의 존경을 받던 송익필은 아버지 송사련의 악업으로 인해 피맺힌 한을 오랜 세월 품어왔던 안가와 동인 세력에 의해 '곧음'을 목숨처럼 여기던 이가 하루아침에 쫓기는 신세가 된다.

그가 제자를 키워내고 뒤에서 정치 인사들을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이게 애썼던 것은 개인의 사리사욕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것이 '곧음'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본인은 그 진위를 전혀 모르지만 이 책의 저자에 따르면 그렇다.)

그런 이가 쫓기면서 지은 시 <망월>을 찬찬히 다시 읽어보라. 

저자가 준 픽션이라 명명한 <조선의 숨은 왕>에는 송익필을 비롯한 당대의 문장가들의 글이 많이 실려있다. 그들이 나눈 대화도 많이 실려있다. 벗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글귀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책의 구성은

1장. 선조대의 당쟁에 대한 전반전 소개

2장.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3장-4장. 송익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동인과 서인의 당쟁사를 읽는 재미가 있으며, 송익필이라는 인물과 그 가족사가 안타까우며, 송익필과 이이, 성혼, 정청 등 당대의 인물들이 교류하는 것을 들여다보는 것이 훈훈하다. 이이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송익필의 글이 뼈에 사무치고 수많은 제자들이 송익필의 사후에도 그 영향받음을 기꺼워하는 것이 남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