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우노메 인형 히가 자매 시리즈
사와무라 이치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포 영화를 즐겨 보지 않는 내가 마음을 졸이면서 완독을 했던 공포소설 ‘보기왕이 온다’의 사와무리 이치 작가! 이번엔 ‘즈우노메 인형’이다. 어떤 식으로 공포를 표현하는지 한 번 겪어봤기에 자신감 넘치게 책장을 펼쳤다. ‘보기왕이 온다’를 생각하며, 읽기 시작했지만, 그 생각은 대단한 착각이었고, 전혀 다른 결에 당황해할 수밖에 없었다. 호러와 오컬트 전문 잡지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하는 주인공은 자신이 담당하는 ‘도시 전설의 원류’의 작가와 연락이 되지 않자, 그의 집을 찾아가게 됐고, 기이한 모습으로 죽어있는 작가와 군데군데 불타 있는 원고를 발견하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원고에는 한 소녀의 시점으로 쓰여 있는 소설로 ‘즈우노메 인형’의 저주에 관한 도시 전설로 그 원고를 읽은 사람은 ‘즈우노메 인형’의 저주로 인해 나흘 안에 죽는다는 내용이었다. 그 원고를 먼저 읽었던 사람의 죽음.. 주인공은 저주에서 벗어나기 위해 저주의 근원을 찾아 파헤친다. 단순히 상황과 묘사의 무서움을 무기로 써 내려간 공포가 아니라 인간 심연의 심리를 건드리는 소설이었다. 그리고 사람이 만들어 낸 공포보다 사람의 감정이 빚어낸 공포가 어느 것보다 잔인하고, 맹목이며, 자비 따위는 없었다.


공포소설을 추리소설 읽듯이 주인공과 저주를 풀기 위해 고군 분토! 백방으로 뛰어다닌 기분마저 들었다. 그리고 그 실체에 다가갈수록 안타까움과 먹먹함이라는 공포소설과는 어울리지 않는 감정이 남아버렸다. 저주라는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워 공포를 조장했지만, 그 안에는 가족 문제, 학교 문제, 사화 문제를 치밀하게 뻔하지 않게 담아냈다. 한 여름밤에 읽는 공포가 오싹함으로 더위를 날려줬다면, 가을에 만난 ‘즈우노메 인형’은 씁쓸한 여운을 짙게 남겼고, 따뜻한 차 한 잔으로 온기를 채우고 싶어지게 만들었다.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멈출 수가 없었다. 잠시 안도하며 책을 뒤집어 놓는 순간, 뒤표지에서 느껴지는 섬뜩함..

나흘의 시간이 함께 흐르는 것처럼, 저주가 풀리기 전까진.. 멈출 수가 없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감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