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로 된 아이 - 시련을 가르치지 않는 부모, 혼자서 아무것도 못하는 아이
미하엘 빈터호프 지음, 한윤진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주변을 맴돌며 모든 일에 간섭하고 해결해 주려는 '헬리콥터 부모', 아이 앞에 나타나는 장애물은 모조리 치워 준다는 '컬링 부모', 무섭게 또는 혹독하게 훈육하며 최고의 결과 만을 바라는 '타이거 부모‘ 사랑이란 이름으로 아이들을 점점 궁지에 몰아넣는 게 아닌가 염려가 되는 용어들이다. 어떤 마음으로 아이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다 하는지 알지만, 그 과함 때문에 ’부모’ 앞에 저런 수식어가 붙는다는 현실이 조금은 씁쓸하기도 했다. 어린 자녀를 둔 초보 부모도 중학교, 고등학교 사춘기의 자녀를 둔 부모도 매번 다른 어려움에 부딪치고, 양육과 아이들 교육은 어렵고도 어렵다고 호소한다. 시대가 변화면서 내가 어릴 적 받았던 양육과 교육과는 확연히 다르기도 하고, 모든 게 처음인 부모의 역할도 아이의 각기 다른 성향 때문에 항상 헤매기 일 수라고 했다. 또 가족 구성원들이 예전에 비해 줄고 있으며, 하나에서 두 명의 자녀가 적당하다고 하거나, 하나만 낳아 잘 키우자는 사람도 늘고 있다고 했다. 모든 사랑과 관심 거기에 경제적 자원까지 한 아이에게 다 해주려 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과한 결과가 생기는 게 아닌가 싶다. 그러다 보니 더 많이 누리고, 더 많이 받고, 부족함 없이 자라는 아이들은 더 이상 단단해질 이유가 없었다. 온실 속 화초처럼 현 교육의 요구 사항에 잘 맞춰 스펙에 맞춰 무럭무럭 자라기만 하면 됐다. 그것이 성공으로 가는 탄탄함이라 말하며 부모는 아이들을 내몰고 있다. 우리 아이는 잘 자라고 있다고 생각하며 말이다. 나 또한 언젠가 경험할 일이기도 하고, 육아라는 큰 산을 어떻게 넘어가야 할지 관심이 많다. 미래의 아이와 내 삶이 보다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이기도 하고, 많고 많은 양육법과 교육 서적들 중에 고르고 또 골라 읽는 이유도 각각에 다른 배울 점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녀의 나이가 많고 적음을 떠나 부모와 자녀가 혼연일체가 된 것 같은, 이른바 ‘공생 관계’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생 관계는 동반자 관계와 투사가 악화된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다. 쉽게 말해서 부모가 자녀의 문제를 자기 자신의 문제로 동일시하고, 그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아이가 자립할 기회를 박탈하는 관계이다. 그 결과로 아이들은 정상적인 정신 발달 과정을 겪지 못한 채 몸만 점점 자란다. / 11

부모가 자녀에게 주어야 할 것은‘최고로 좋은 것’이 아니다. 아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흔들리지 않은 원칙과 질서하에 스스로 세상을 탐험할 자유, 그리고 갖은 실패 속에서도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기회이다. 이것이 우리 아이들이 능숙하고 독립적인 삶을 꾸려가는 단단한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13

독일의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전문의 미하엘 빈터 호프가 35년간 육아와 자녀 교육 문제로 힘들어하던 부모와 어린이, 청소년들의 상담, 치료를 바탕으로 써 내려간 육아법으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교육열이 높은 독일에서 자녀교육 베스트셀러가 될 만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읽었던 책이다. 이 책에선 ‘알렉사’와 ‘루이스’라는 두 명의 아이가 등장하는데, 알렉사는 과거의 아이로 1990년대 초반의 아이를 대표하고 있다. 루이스는 현재의 아이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들이다. 이 아이들의 일상적인 상황과 적응 방식을 비교하며, 보다 더 아이들이 행복해질 수 있는 해결법을 찾으려 했다. 과잉보호로 인해 쉽게 깨지는 유리처럼 나약해져버린 아동청소년들의 원인과 해결책을 유아기부터 10대 사춘기까지 연령별로 분석해 놨으며, 부모와 유치원 선생님, 학교 교사들을 위한 지도 노하우까지 담고 있다.

우리는 아이들이 만 사가 항상 바라는 대로만 되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는 것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걸 이해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발달심리학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해진 원칙이나 규율을 따르는 것을 뜻하는 타율성을 꼭 부정적으로만 생각하지 않는다. 다정하게 손을 잡아주고 아이의 정신 발달 과정을 이끌어줄 든든한 어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34-35

아이에게 근심 걱정 없는 어린 시절을 선사하고 싶다면, 부모는 자녀가 어른들의 문제 때문에 과도한 심리적 부담을 떠안지 않도록 보호해 주어야 한다. / 57

정신 발달이 완전해질 때까지 부모와 교사는 좀 더 많은 시간과 인내심을 투자하며 곁에서 보살펴야 한다. 무엇보다 아이를 아이로 바라보는 능력을 되찾아야 한다. (...) 우리 아이들이 바라는 건 나이에 걸맞지 않은 부담과 책임으로부터 어른의 적절한 보호를 받고, 자신만의 길을 걸으며 어른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 161

아이를 아이로 대하지 않고 작은 어른으로 바라보며 향후 생길 결과를 직시하지 못한 채 스스로 책임질 줄 알고 필요한 건 스스로 터득하는 독립적인 아이가 되라고 강조했다. 아이에게 진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직시하지 못하는 순간 의도하지는 않았더라도 아이의 어린 시절은 사라져버린다. / 210 - 211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가정과 개인의 삶이 많이 개선되고, 육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졌다. 교육의 방법 또한 다양해졌지만, 부모와 아이들의 관계나 정신 발달은 퇴보한 경우가 많다. 과잉보호로 인해 몸만 훌쩍 커버린 아이들은 사소한 문제도 부모나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며, 작은 문제에도 쉽게 포기하고 쉽게 상처받는 사람으로 성장하기도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결과를 저자는 어른들이 아이들을 대하는 잘못된 방식이 아이들의 정신 발달을 멈추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부모가 아이를 자기 신체의 일부로 생각하는 잘못된 사고인 공생 관계, 자기 주도 학습으로 인해 동반자가 되어버린 교사, 아이가 원하는 건 무엇이든 들어주려는 조부모처럼 아이를 둘러쌓고 있는 어른들의 잘못된 역할이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만든다고 말이다. 자기주도학습,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선택권을 주는 것이 좋다는 요즘 교육법에 익숙해져 있는 나는 머릿속에 물음표가 수없이 떠다니고 있었다. 하지만, 그 머릿속의 물음표는 금세 느낌표로 바뀌었고 나름의 해답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정확히는 저자에게 설득당했다. 자기주도학습은 제 나이에 걸맞은 정신 발달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며, 아직 학습 태도나 미리 계획을 세울 능력이 부족한 아이에게 자기주도학습이나 자율적인 선택지를 건네는 것은 독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아이들이 더 늦기 전에 꼭 지켜야 하는 원칙, 질서, 타율성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하는 제일 큰 교육법이기도 하다. ‘건강한 타율성’이야말로 내면이 단단한 어른으로 자랄 수 있게 해주는 밑거름이 되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 아이에게서 사랑이란 이름으로 빼앗아 간 성장의 기회는 없었는지 이 책을 통해 교육법과 더불어 다시 한번 자녀교육에 대해 고민을 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다.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감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