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바침 - 결코 소멸되지 않을 자명한 사물에 바치는 헌사
부르크하르트 슈피넨 지음, 리네 호벤 그림, 김인순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책에 의한, 책을 위한 한 애서가의 기록으로 어쩌면 사라져버릴 수도 있는 종이책을 기억하기 위한 또는 절대 사라져버리면 안 되는 이유를 기록한 저자의 애정으로 가득 찬 책이다.

글을 깨친 뒤로 내게 세상을 열어준 것은 파일이 아니라 책이었다. 책은 내 동반자이자 내 동거인이었고 조력자이면서 친구였다. 지금 이 순간까지도 그 사실엔 변함이 없다. / 21

책으로 출간되었다는 것 자체가 텍스트에 대한 표창이다. 책으로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많은 어려움을 극복했음을 입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책은 자신을 존중해 주길 요구한다. / 24


책이 온전히 주인공인 책이라니? 이 얼마나 근사한 주제인가?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감동이 쓰인 책이 아닌  사물로서 그 원초적인 접근이 신선하기도 하고, 책을 진정으로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졌다. 거기에 다양한 카테고리로 책을 분류하여 자신의 기억과 추억을 담아 책을 저술하며, 그 애틋한 마음을 꾹꾹 눌러 담았다.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를 풀어놓는 수다쟁이가 되는 것처럼 말이다. 자동차(기계)의 등장으로 인해 마차가 사라졌고, 기마병이 사라지면서 현재 말의 쓰임이 변경된 것처럼 효율성과 편리함, 휴대성의 장점을 가진 e-book 이  종이책의 자리를 위협하고, 불안한 현재와 미래의 위치에 놓인 종이책의 안위 때문인지 저자는 애정 하는 존재와의 언젠가 있을지 모를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자기만의 방법으로 작별 인사를 준비했다.

이제 완성된 작품으로서 수백만 권의 책은, 세상의 모든 중요하고 본질적인 것들이 확고한 형태, 즉 처음과 중간과 끝을 가진다는 확신을 더욱 고양시킨다. 가령 인간의 삶이 그렇듯이. / 25-26

그러므로 누군가에게 있어서 '좋아하는 책'은 그야말로 '오롯한' 책이다. 왜냐하면 적어도 독자의 입장에서는 텍스트와 그것을 담은 물질적 형식이 자명하게 하나를 이루기 때문이다. 즉 정신과 물질이 일치한다. 무언가가 성공하는 경우는 언제나 그런 법이다. / 58

다시 말해서 우리가 평생 읽는 책의 분량과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에 보관할 수 있는 책의 분량은 어느 정도 일치한다. 우리가 소장하는 책의 분량만큼, 딱 그만큼의 텍스트가 우리의 머릿속에 들어가는 것이다. 우리가 마련하는 모든 새 책은 그 책들이 우리의 책장을 차지하는 공간만큼 우리의 독서 생활을 차지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알맞은' 책을 고르기 위해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이다. / 60 - 61

책의 우주는 광대할 뿐 아니라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다. 유명해지고, 소중히 여겨지고, 호평받고, 과장되고, 영화화된 수십수백 권의 책이 평온한 삶, 심지어는 침묵하고 보이지 않는 삶을 영위한다. 그 책들의 존재를 모른다면, 그 책들을 찾으려 하지 않는다면, 절대로 마주칠 수 없는 책들이 있다. / 100


새 책, 헌 책, 훼손된 책, 좋아하는 책, 빌린 책, 알맞은 책, 책의 이름은 생각보다 더 다양하고, 세심하게 분류될 수 있었다. 나는 다양한 e-book의 장점을 뒤로하고 아직까진 종이책을 선호하는 사람이다. 책 만이 줄 수 있는 분위기, 질감, 밑줄을 그을 때 느낌, 종이마다 다른 특유의 냄새까지 책이 주는 편안함과 든든함을 포기할 수가 없다. 작가와 같이 종이책에 대한 애착이 크다. 그래서 작가의 이야기에 더 마음이 갔고, 공감이 되는 문장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186page의  두껍지 않은 이 책엔 부분 부분 인텍스가 늘어만 갔다. 언젠가 곁을 떠나 잃어버리게 될, 어느 순간 잊어버릴 수도 있고, 단순히 찾아온 책 태기에 잠시 손에서 놓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 흔적만 남기고 간 종이책의 부제를 기억할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


너무나 친숙하게 옆에 자리 잡고 있어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책문화의 기록들, 사라지고 난 후에 깨닫게 될 종이책의 모든 것에 대한 아련한 추억들을 곱씹을 수 있게 정리된 한 권의 애장품이기도 하다. 언젠가 소멸되고 사라지는 게 사물의 운명이라지만, 나는 초콜릿이 사라질 수 없듯 종이책도 사라질 수 없다는 작가의 근거를 믿고 싶어졌다.

읽힌 책은 그것을 읽은 독자가 살아온 삶은 일부이다.  심지어는 아주 중요한 장의 특별한 한 단락이 삶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독자가 가장 머물러 있고 싶어 했던 부분, 가장 편안함을 느낀 부분이었다면 언제나 그렇다. 모든 텍스트는 언어로 이루어진 세계이다. 이와 동시에 독자에게는 그 세계를 여행한 기록이다. 그러므로 이따금씩 그 여행을 회상하기 위해서라도 읽힌 책은 여행 기록처럼 보관될 필요가 있다. / 163

모든 중독이 그렇듯이, 책 중독도 끊임없이 복용량을 늘려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는 책들이 책장 밖으로 넘쳐나고 바닥에 높이 쌓이고 빈 벽을 타고 기어오른다. 마지막에는 책들 자체가 가구가 되고, 심지어 정말 마지막에는 소유주의 유일한 가구가 된다. / 174

책장은 특별한 온기를 발산한다. 더욱이 어쩌면 주인의 온기를 발산할지도 모른다. 책장은 살아 있는 사람을 이루는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성격과 기능의 병존을 대표한다. 그런 가구가 또 있을까? 그런 가구가 또 있는지 생각나지 않는다. / 177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감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