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비디아 젠슨 황, 생각하는 기계 - 전 세계 최초 공식 자서전
스티븐 위트 지음, 백우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5월
평점 :
현재와 미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공부는 필수이다.
인공지능을 이해 하기 위해서 chat GPT, Gemini 등에 대한 공부도 중요하지만, 엔비디아에 대한 이해가 선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엔비디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젠슨황이라는 인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오늘의 엔비디아가 생기가 까지 젠슨황이 정말 많은 기여를 했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주식 투자를 위해서 엔비디아에 대한 이해는 정말 중요하다. 엔비디아를 시작으로 AI 생태계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투자 성패는 엔비디아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감히 생각한다.
엔비디아와 젠슨황과 관련된 책을 몇권 읽어 봤는데, 시대에 편승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기획된 많이 준비되지 않는 책도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실제로 젠슨황을 인터뷰하고, 젠슨황 주변인물들에 대한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제대로 젠슨황의 목소리를 느낄 수 있는 책이다.
엔비디아의 젠슨황은 병렬 컴퓨팅이라는 성공해 본적이 없는 분야를 그리고 여러해 동안 힘들게 만들었던 이 기술을 꾸준히 밀고 나가서 현존 최고의 기술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 모든 과정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또한 그의 어린시절도 남겨있다.
처음엔 그저 운이 좋은 사업가라고 생각했다. 시대가 필요한 기술이 유연히 들어 맞아 억만금을 벌어들인 희대의 운좋은 사업가 정도라는 인식도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이건 너무 허무 맹랑한 상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공은 필연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50대 후반에 접어든 젠슨황은 어떻게 이 시대에 가장 주목받는 사업가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을까? 궁금해 하는 작가의 시선에서 기술된 책이다. 젠슨황 이라는 인물과 엔비디아라는 기업을 제대로 알고 싶은 모두 이 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이 책을 읽고나면, 젠슨황을 묘사한 다음 문장이 와 닿게 될것이다.
그리고 이런 기업을 평생에 하나 정도 발굴하기를 희망하게 될것이다.
그는, 사업 전략은 약간 미친것처럼 보여야 한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가 따라하게 되고, 이익은 경쟁속에서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