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한국사가 생겼대요 - 한국사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사회 9
우리누리 지음, 우지현 그림 / 길벗스쿨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곧 있음 방학이에요.
이번 방학이 무엇보다 중요한 귤양인데요.
바로 2학기부터는
한국사 수업이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읽기 시작한 초등추천도서
그래서 이런 한국사가 생겼대요랍니다.

 

 

 

 

 

이 한 권으로 한국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할 것 같아요.
방학 동안에 다섯 번 완독하는 것을
목표로 스타트!

각 단어를 보니
그 시대의 특징을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1장에서는
박물관에서 많이 보았던 뗀석기를 시작으로
전개가 된답니다.

 

 

 

 

 

악 70만 년 전에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먹도끼, 찍개, 긁개 같은
여러 뗀석기를 이용했어요.
이 가운데 주먹 도끼는 짐승을 잡을 때나
가죽을 벗길 때 썼어요.
찍개는 나무를 자르거나 사냥할 때,
긁개는 나무껍질을 벗기거나
짐승의 살을  긁어내는 데 사용했어요.

 

 

 

 

죽은 사람을 위하여 산 사람을 함께
무덤에 묻는 장례 풍습을 순장이라고 해요.
고구려부터 부여까지
고대 국가들은 순장을 했어요.
부여에서는 백 명 단위로 사람을 죽여
순장하였고,
신라에서는 왕이 죽으면 남자와 여자를
각각 다섯 명씩 순장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