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룹코칭 - 탁월한 성과를 내는 리더의 선택
김종명.여재호.이해원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5월
평점 :
구성원의 성장과 집단지성을 이끌어내는 노하우가 궁금한가? 이 시대의 리더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을 소개한다. '그룹코칭'
이제 누군가에게 지식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것의 방식이 달라졌다. 일방적인 것을 전달한다기보다 서로의 의견의 교환과 옆에서 도와주는 정도면 충분하다.

탁월한 성과를 내는 리더의 선택 『그룹코칭』은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GCE 그룹코칭 모델을 따라 하면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그것은 어떤 핵심가치가 있을까?
누군가가 원하는 것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은 일을 하고 싶었기에 더욱 관심이 간다. 시대가 변했다. 이젠 정보를 교환하고 성장하는 방법도 이 시기에 맞는 방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회의를 진행할 때
-조직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자 할 때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고자 할 때
-각종 문제 해결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할 때
-조직의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고자 할 때
-조직 갈등을 해결하고자 할 때
팀장, 리더들은 이런 고민이 많으리라 생각이 든다. 직장은 혼자서 일을 해낼 수 있는 곳이 아니다. 협력, 공존하면서 성과까지 낼 수 있는 방법을 위해 많은 이들이 『그룹코칭』을 선택해서 진행한다고 한다. 다양한 코칭 방법이 있지만 책에서는 그룹으로 진행하는 방법에 과한 핵심요소와 단계별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Greetings: 친밀하고 안전한 공간 만들기
Revisit: 실행을 공유하고 학습을 심화하기
Objective: 초점을 명확하게 하기
Understanding: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기
Planning: 실행계획 수립하기
이것은 코칭을 진행하는 순서다. 모든 순서에서 코칭 진행자의 세심함을 느낄 수 있다. 몸과 마음이 동시에 그 시간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준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팅스로 기분전환과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

코치가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은 신뢰와 안정감, 인식 일깨우기, 코치 프레즌스, 적극적 경청 이렇게 네 가지다.
이 중 가장 기본인데 하기 힘든 경청에 대한 부분을 먼저 배우고 싶다. 방법은 자기관리를 한다 / 상대방의 이야기의 핵심을 간결하게 요약하며 듣는다 / 감정과 에너지 변화, 비언어적 신호 등 몸짓 언어를 듣는다.
코치는 자신이 들은 것에 대해 겸손해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들은 게 아니라, 자신의 인식 구조를 통해 들은 것이라는 걸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들었다'고 말한다면 맞는 말이 아니다. (p.109)
『그룹코칭』를 통해 듣는다는 것을 얼마나 잘못 알고 있었는지 알게 한다. 의견을 내지 않고 듣기만 한다고 그대로 들은 것이 아니라는 말, 듣는 사람에 따라 다 자신만의 인식의 틀에 걸러져 들어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좀 더 객관적이고 의심할 줄 알 필요가 있어 보인다.

5장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핵심요소를 담았다. 즐거움, 성취, 시너지, 집단지성, 연결 이런 것들로 구성된다. 참가자와 코치의 대화로 구성되는 예들은 실제 코칭가가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 보인다. 이쪽의 이야기를 잘 모르는 이의 이해에도 적당해 보인다.
코치전문가 양성을 위한, 코치를 도전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매뉴얼이 담긴 느낌이 드는 책이다.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는 마음이 아닐까. 요즘은 내가 아는 것을 공유하고 나누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의 흐름이다. 그래서 더욱 주목해볼 만한 일.

6장은 그룹코칭 완성하기를 담았다. 이론으로 배웠으면 적용해볼 만한 부분도 필요하지 않겠는가.
설계의 3요소 WHO, 그들은 누구인가? / WHAT, 그들은 무엇을 원하는가? / HOW,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이런 요소와 시간과 공간에 대한 부분까지 신경 쓸 수 있게 도왔다. 코칭 공간이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심리적인 부분도 존재한다고.
이젠 실행이다. 첫 세션, 중간 세션, 마지막 세션으로 구성하여 코치할 때 직접 해 볼 수 있는 게임이나 자기소개, 이미지 카드, 칭찬카드, 롤링페이퍼 등.... 정말 다양하게 적용할 것들과 매뉴얼을 적었다. 어떻게 구분을 할 수 있냐고? 코치진행은 보통 6회를 할 경우 1회/ 2~5회/ 6회 이렇게 나눠서 진행하면 된다고.

부록에서는 자주 묻는 질문들과 실전 사례들을 모아주었다.
그룹코칭과 일대일 코칭 / 어떤 경우에 그룹 코칭을 하는가 /그룹코칭과 팀코칭의 차이 / 워크숍과 그룹코칭은 어떻게 다른가 같은 우리가 흔히 헷갈려 하고 잘못 사용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들을 수 있다.
또한 그룹코칭 실전 사례를 보면서 상황별로 코치를 할 팁을 얻을 수 있어 보인다.
좀 더 잘 이해하고 더 잘 사용하기 위해 책을 썼다는 저자들의 말처럼 실제로 많은 이들이 코치가 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낸 듯하다.
시대의 흐름이 한 방향 정보 전달이 아닌 그 힘이 달라져서 운동선수의 코치와 같은 도움이 필요하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제대로 코치하는 방법을 궁금해하는 듯. 그렇다면 탁월한 성과를 내는 리더의 선택이 담긴 이 책이 아닐까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어본 후 주관적으로 적은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