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기적 유인원 - 끝없는 진화를 향한 인간의 욕심, 그 종착지는 소멸이다
니컬러스 머니 지음, 김주희 옮김 / 한빛비즈 / 2020년 4월
평점 :


'끝없는 진화를 위한 인간의 욕심, 그 종착지는 소멸이다.' 이 문구만 보고도 많은 궁금증을 자아냈따. 리처드 도킨슨이 "나에게 엄청난 깨달음을 던져준 책이라"라고 말한 이기적유인원 이번에 한빛비즈에서 새로 나온 책이다.
현재 바이러스로 인한 엄청난 상황에 대한 이야기의 한쪽의 이야기의 관점과도 비슷한 점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 개인적으로 나도 입장도 인간의 탐욕이 부른 화에 대한 답이 아닐까 하는 점에 대한 생각에 동의하고 있다. 그래서 책 표지를 보자마자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이기적 유인원은 지구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해 우리가 어떻게 나타났으며 어떻게 움직이고 설계되었는지, 태어남에 대한 출산, 생각에 대한 지성, 죽음에 대한 무덤, 문명을 발전시킨 위대함, 지구온난화, 우아함을 차례로 설명한다. 생명체가 어떻게 지구에 착륙했는지부터 이야기를 시작해 욕망이 어떻게 인류의 멸종을 하는지 이야기해 준다. 이 책을 읽어본 이들의 추천사 중 기억에 남는 게 있어서 적어본다.
"인간의 본질은 이기적인가? 철학과 과학을 엮은 이 책은 우리 인간이 신과 같은 호모데우스가 아니라 자기중심적이고 자기파괴저인 호모 나르키소스라고 일갈한다." -과학 저널<바이롤로지스트>-

<이기적 유인원>에서는 빅뱅으로 초신성이 형성되고 최초의 별이 태어나기 전까지, 단백질과 같은 유기물질의 공격을 이루는 탄소 원자는 탄생하지 못했다고 한다. 지속적인 폭발과 수축이 일어남으로써 현재 우주에 탄소와 다양한 금속원소가 생겨났다고 한다. 그 때에 우리가 태어났다면 우리는 지금과 같이 살지 못했을 것이다. 태양이 적당히 빛나고 있을 때 태어난 것은 정말 행운인거 같다. 인간은 개체 수가 많고 과학기숙을 이용해 다른 생물권을 변화시킨다. 하지만 우리는 책임이 뒤따르는 지배자가 아닌 관리인으로서, 인간은 지구에서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 아무리 노력해도 미생물을 명종시킬 수 없다고 한다.

우리 몸은 어떻게 움직일까를 보면서 마지막 문장이 잊쳐지지 않는다.
우리는 '어느 정도 생각하는 인간 Homo somewhat sapient'이지만, 사실은 무기질 뼈대에 지방 덩어리를 매끄럽게 펴 바른 뒤 단백질 끈과 전깃줄을 동여매고, 풀무로 가슴 속에 공기를 불어 넣고 정교한 배관을 통해 영양분과 물을 공급한 후에 내장을 집어넣어 질긴 가죽으로 감싼 것이다.(p.60)
몸에 관해 이렇게 표현을 하다니 너무 적나라하지 않은가? 12세기 충격적인 일화의 이야기에 살해당해 몸이 차가워지자 옷에서 기생충 무리가 "가마솥에서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물처럼" 들끓었다는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에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죽으면 우리도 미생물이 되어 버리는 걸 알아야하는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종차별주의는 자연의 좋고 싫음으로 차등 분휴하는 것에서 만족하지 않고, 인종 간에도 계층이 있다고 망상한다.(p.77) 어찌 이리 안타까울 수가 있단 말인가.

<이기적 유인원>에서 지성과 문명 발전에서도 우리는 많은 생각을 해봐야 할거 같다.
인간의 뇌는 바깥 쪽과 안쪽 모두에서 독특한 특성을 발휘하는데 관여한다고 한다. 이 오래된 두 뇌 영역이 지닌 영향력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우리는 공포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지능을 지닌 동물이 인간이라는 것은 다행스럽지만, 우리에게 번민을 안겨주는 큰 뇌는 의식이란 오래가지 못하고 이 모든 순간은 빗물처럼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 것이다.(p.109) 번연계는 저자처럼 죽음 공포증이 있는 사람에게 끔찍한 자연의 규칙을 일깨운다고 한다.
우리는 이 공포에 맞서서 밝은 희망을 발견 할 수 있을까??

처음으로 하느님을 거역한 인간이,
금단의 열매를 맛보면서
세상에 죽음과 온갖 재앙을 일으키고
에덴까지 잃고 말았으니...<창세기 제 1편,1~4>
이 어찌 섬뜩하지 않을 수가 있는가? 9장 지구온난화에 나온 이야기다. 이미 너무 많은 자연을 화나게 한 건 아닐까...우리의 삶에 없어서는 안되는 것인데 다른 방향을 보느라 잊고 지낸 것은 아닐까..
"개인이 아니라 세계인으로서 죽는 법을 배우라" -로이 스크랜튼-
의식을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자시나마 자연에 머물렀다는 사실에 감사한 마음을 지니는 것, <이기적 유인원>의 저자가 이름 붙인 '우아함' 이라는 개념으로 정신적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자연에게 더욱 인간적으로 대한다면 조금은 더 나아질 수도 있지 않을지 누가 아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