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안드레아스 헤르만.발터 브레너.루퍼트 슈타들러 지음, 장용원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자율주행 들어보셨나요?? 대한민국이 제 4차 산업혁명이라고 떠들썩하면서 더 이슈가 되어있는 자동차의 자율주행 이야기.

제가 이번에 자율주행에 관한 관심들이 각 분야별로 어떻게 효과를 줄지 그리고 우리에게 남은 도전과 과제들은 무엇인가에 대한 책을 보게 되었어요. 한빛비즈의 <자율주행-한빛비즈>으로 조금은 폭넒은 자율주행에 대한 의견을 읽어보게 되었어요.

자동차는 어떻게 진화하게 되었는지 설명하며 인간 주행을 넘어 자율주행이라는 혁신적인 새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려면 기본에 가지고 있던 관점, 사고방식,신념, 습관 등을 모두 버려야 한다고 하네요. 특정 지식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다고 해요. 자율주행차는 이동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데 특히 교통사고로 인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 비용은 미국에서만 연간 5,000달러에 이른다고 이야기 해주네요.물론 자율주행차에 대한 의구심이나 걱정, 두려움은 있을 수 있다고 하면서 그럼에도 자율주행차는 시간, 공간, 에너지, 돈을 절약하고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해요. 차량 흐름 개선, 환경오염 감소, 비용 절감, 도시 구조 변화 등 자율주행의 엄천난 가능성도 실현 가능한데 이런 가능성은 사회가 이런 수단의 비약적인 발전을 원해야만 실현된다고 이야기해요. 물론 자율주행차의 위험성 인정도 하면서 위험성을 찾아내 평가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하네요.

차를 운전하는 즐거움이 차에 실려 이동하는 즐거움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며 우리가 현재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연료, 공간, 시간에 대한 불편을 해소해 줄거라고 해요. 자율주행하는 차 안에서 원하는 작업을 하거나 휴식을 하거나 운전을 하는 시간에 그 공간에서 운전을 하지 않고 효울적인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자율주행차가 나올 거라고 하네요.

이동의 미래 시나리오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이동수단이 되어야 하며 고객이 원하는 기대에 맞춰진 자율주행차의 가능성을 이야기 해요. 그리고 자율주행차가 어떻게 활용이 될지 다양한 방안들을 이야기하고 실패 가능성 역시 미리 생각하나고 하네요. 자율주행으로 인해 없어질 직업 하지만 새로운 유형과 새로운 분야에 주목하며 자율주행차의 긍정적인 면을 이야기 했어요.

자율주행차 도입의 사회적 조건들에서는 제가 자율주행으로 인한 문제 중 걱정했던 부분에 대한 고민도 함께 적어냈어요.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이 많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자율주행차. 이것은 기업과 사회에 미칠 영향들이 마주 많다고 해요. 일단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 상황적인만 봐도 많은 변화들이 생길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현재 우리는 완전한 자율주행차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기능이 들어있는 차들을 운전하고 다녀요. 이런 기능이 운전 중 건강에 이상이 생겨서 위험에 빠진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이 되어 목숨을 구한 사례도 있다고 해요. 장거리 운전시 일정속도로 계속 운전하게 하는 기능, 차선을 넘으면 알려주는 기능은 흔하게 볼 수 있는데요, 완전한 자율주행차 보이기 위해서는 우리가 아직 많은 도전과 과제를 해야한다고 하네요.

이들이 말한 자동차 산업에 정부에게 말하는 자율주행에 대한 도전과 과제들의 방향들이 기대되네요.

<자율주행-한빛비즈> 도서로 인해 조금은 확~펼쳐진 자율주행에 대한 얕은 정보를 알게 된거 같아 유익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