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배달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27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종 비행으로 악명 높은 영국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사춘기가 되기 전에 자신은 절대로 사회의 주류계층이 되지 못할 것을 깨닫는다고 한다. 사회가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소년 또한 크게 다르지는 않다. <특별한 배달>의 태봉 또한 영국 청소년과 같은 생각을 가진 주인공이다.


  "학교에서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서열 분리 아니가? 학교는 올지 그 일을 위한 검증 단체라는 생각마저 든다. 소수의 엘리트 그룹과 대다수의 잉여와 초잉여, 쓰레기로 자동 분리되는게 하교라는 것을 초딩 때부터 몸소 체험하고 살았기 때문에 제분수를 모르는 아이는 거의 없다. (중략) 태봉은 이미 트랙 밖으로 밀려났다는 것을 안다. 출발선부터 다르기 때문에, 트랙 차지는 고사하고 운동장에서조차 퇴출될 가능성이 짙다는 것도 안다." (16쪽)


  이러한 생각을 하며 장래희망을 잉여인간이라고 쓰는 태봉이 너무 비약적인 것일까. 아니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이러한 처지에 있으며 입 밖으로 드러내지 못할 뿐이지 누구나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런 태봉과 정반대편에는 '1학년 여신'이고 늘 전교일등을 하는 슬아가 있다. 겉보기에 슬아는 화려하고, 완벽한 주류의 삶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런 슬아의 내면은 공부만을 강요하고 장식적인 삶을 위해 슬아를 쥐어짜는 엄마와 동생에 대한 상처가 곪아 있다. 전혀 다른 세상에 있지만 사회의 피해자라는 공통점을 가진 두 사람을 주인공으로 작가는 이야기를 풀어간다.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웜홀과 평행우주는 청소년들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지금의 나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망에 뿌리를 두고 있다. 기사에 단편적으로 보도된 구덩이에 ‘웜홀’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추적하는 것은 슬아이다. 지금보다 더 나은 삶, 더 나은 내가 되길 원하지만 정작 지금 나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도 모르는 게 청소년들이다. 그런 슬아와 태봉에게 작가가 부여한 장치가 웜홀이다. 사실 웜홀은 현재를 바꿔주지도, 특별한 능력을 주지도 않는다. 그저 삶의 결정적 순간을 보여줄 뿐이다. 웜홀에 뛰어들 결정을 하는 것도, 웜홀에서 본 결정적 순간에 대한 결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것도 당사자의 몫이다. 슬아와 태봉은 자신이 믿는 대로 그 방향을 이끈다. 그리고 그 방향의 끝에는 희망이 있다.

  작가는 함부로 주인공들의 인생에 개입하거나 섣부른 교훈을 제시하려 하지 않는다. 그저 결정적 순간과 희망을 보여준다. 그것만으로도 슬아와 태봉은 위로를 받고 사랑을 보고 높이 떠오른다. 사실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작가의 방식처럼, 그냥 희망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특별한 배달>에서 청소년들에게 배달하려는 것은 ‘희망’이라는 두 글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