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민의 기생충 콘서트 - 지구의 2인자, 기생충의 독특한 생존기
서민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5월
평점 :
어릴 때 학교에선 대변을 받아 오라며 봉투를 나누어 주었다. 한 번씩 이럴 때마다 아주 불편했다. 하지만 그만큼 기생충이 많았던
시절이었다. 문득 어린 시절 추억을 생각하며 서민의 기생충 콘서트를 펼쳤다.
서민의 기생충 콘서트는 전에 출판되었던 책 서민의 기생충 열전 속편에 속하는 책이지만 새롭게 꾸며서 책 이름 부터 다르게 했다고 한다. 이
책 속에는 우리가 잘 모르는 기생충들만 가득한데 기생충 열전에는 우리가 흔히 들어보았던 기생충이 많다면 이 책은 우리가 잘 모르는 기생충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는 것이다.
사실 기생충 하면 우리가 무조건 없어저야 할 생물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 몸 속에는 오랜 시간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것들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가졌다. 앞서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했지만 지금 우리에겐 기생충이 거의 없다는 것으로 알고 있기에 이렇게 많은 기생충들이
있다는 것에 놀라움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기생충이 우리 몸에 들어올 때 여러 방면으로 침투하는 것도 놀라운 일이었다. 특히 흙을 맨발로 다니게 되면 발에 있는 땀샘으로 침투할 수
있다는 사실로 놀라웠고 눈에 살고 있는 기생충이 있다는 사실과 유기농 식물이 오히려 기생충을 흡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도
놀라움이었다. 또 흥미로웠던 것은 오히려 아주 깨끗한 곳에서 기생충이 더 잘 살 수 있기에 이런 곳의 물이나 식물 그리고 생선 같은 것을 먹다가
기생충이 몸속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경고는 괴기스럽다고 할 정도다.
오래전부터 사람 몸 속에 살고 있는 기생충 같은 경우는 여간해선 사람의 몸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오히려
다른 동물 속에 있던 기생충이 어쩌다 사람으로 옮겨지면 이것이 더 큰 피해를 남긴다는 것을 보며 비록 기생충이 거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우선 기본적인 먹거리를 다시 확인할 필요는 있다. 세상에 무조건 좋은 건 없으니까
때론 모르는 것이 약이긴 하다. 왠지 이 책을 읽으니까 혹시라도 내 몸 속에는 나를 해하는 기생충은 없을까 하는 걱정이 되니까. 그래도
주위를 살필 수 있으니 그게 더 나은 것인지 모른다. 두렵다고 피한는 것보다 알아보는 것이 그래도 훨씬 좋은 일이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