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15년 3월
평점 :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도시에 가면 빼곡하게 들어선 아파트가 있다. 아파트엔 잘 가꾸어진 나무들과 화단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도시엔 다양한 건물들이 있다. 물론 비슷한 모양이다. 그리고 잘 닦여진 길이 있다. 우리가 도시를 보며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은 이런
것이다.
유현준의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었다. 도시를 통해 본 인문학적 성찰인데 생각의 깊이가 예사롭지 않다. 도시하면 떠오르는 건 건물이고
이 건물과 도로 그리고 자연이 얼마나 잘 어우러지는지 관찰한다. 왜냐하면 도시는 사람이 사는 곳이고 사람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만약 도시에 사람이 없다면 그 얼마나 황량한 공간으로 남을 것인가?
도시엔 길이 있다. 어떤 길은 그저 자동차들만 가득한 길이기도 하지만 어떤 길은 사람들로 넘친다. 이 차이는 무엇 때문일까. 그것이 바로
이 책의 출발이지만 단순히 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이야기부터 건축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형광등이나 인터넷까지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이야기들을 끌고 나간다. 물론 우리가 사는 삶 속에 다 들어가 있는 것이라 결국은 인문학적 시선으로 보자면 모든 것을 바라볼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것들까지도 연결시켜 생각해 보는 저자의 시선이 새롭다.
외국인들이 특히나 유럽인들이 한국인들의 아파트를 보며 저소득층이 살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리는 안다. 아파트야 말로 중산층이
사는 곳임을. 무분별하게 지어지는 아파트를 보며 과연 우리나라는 건축에 인문학적 성찰을 담고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한다. 그저 집값을
올리려고 대형 건설사들에 의해 마구잡이로 지어지는 아파트엔 더 이상 우리 선조들이 지켰던 삶으로서의 공간과 생각이 남아 있지 않다. 물론
최근에는 아파트에 인문학적 성찰을 담으려는 시도는 있지만 아주 미약하다.
너도 나도 도시와 아파트에 살려고 하는 시대에 과연 우린 얼마나 인간적 가치를 염두에 두고 살아가고 있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생활이
편리해진 시대에 살면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이 책을 통해 찬찬히 보길 바란다. 책을 읽노라면 정말 우리가 그간 쉽게 지나친 부분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에서 살 수 밖에 없다면 조금은 더 인간적이고 따스한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