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상고사, 국사 교과서가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 역사
신채호 지음, 김종성 옮김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신채호' 이 이름은 학창 시절을 보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사람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기억을 못할 수도 있겠지만...... 신채호가
했던 이야기 중 "역사는 아와 비아와의 투쟁이 시간적으로 전개되고 공간적으로 펼쳐지는 정신적 활동 상태에 대한 기록이다" 는 너무
나 유명한
것이다.
고대사란 사실 너무나 오래되어 기록조차 거의 남아있지 않다. 가령 최근 풍남토성이 발견되어 이곳이 백제가 한강 유역을 차지했을 때 수도였던
위례성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은 정확히 그렇다고 단정하지 않았다. 물론 다수의 학자들이 풍남토성이 위례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말이다.
이 책은 단군 시절부터 백제 시기까지의 기록이다. 개인의 기억에 의존했기에 역사적 사료로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하지만 이런 역사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개인의 기억을 넘어 충분히 보전하고 후세에도 남겨줄 문화재로서의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책의 내용이 다소 치우친 경향이 있다. 이건 우리가 배우는 교과서도 마찬가지다. 교과서의 기록에 의하면 거의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영향을 받아 마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것처럼 이야기를 하지만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다. 너무나 많은 고구려땅을 놓쳤기 때문이다. 오히려
통일신라시대가 아니라 남북국시대라고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채호는 기존의 신라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 다른 시각을 보여주기 위해 역사를 기록한
것이 아닐까? 이런 생각도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새로운 역사 읽기가 바로 조선상고사라고 여겨진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고 신채호가 이야기한 것처럼 우리가 알아야 할 역사를 배우는 일에 게으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책은 신채호의 성실성이 낳은 결과물이다. 신채호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역사는 역사 자체여야 한다." 우리의 역사가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특히나 인물을 그릴 때 이런 시각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물론 신라의 부흥기를 이끌었던 왕과 김유신 장군을 폄화할 생각은 없지만 기존 시각은 너무
영웅화 된 것이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우리가 늘 기억하는 것처럼 백제의 의자왕 역시 너무 한 쪽의 편협한 시각으로 보고 있다. 역사를 읽어
나갈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보다 객관성이라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선 다각도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겠다. 이 책이 주는 건
이러한 역사 인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