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인간의 경제학 - 경제 행위 뒤에 숨겨진 인간의 심리 탐구
이준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세네카는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다’라고 했다. 어쩌면 합리적이라는 말과 같다. 과연 ‘인간은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까?’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36.5도의 인간의 경제학을 읽게 되었다. 책 제목만 봐도 합리적인 경제 활동을 이야기 하기 보다 무언가 따스함을 전해주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경제학이 사실 어렵다. 그래서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인터넷 경제 대통령 미네르바 때문에 조금씩 경제에 관련된 책을 읽기 시작했을 뿐 여전히 경제학이 어렵다는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 책은 저자가 프롤로그에서 밝힌 것처럼 경제학이 딱딱하고 재미없는 학문이란 선입견을 깨기에 충분하다.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가득 담겨 있어 평범한(?) 독자들이 읽기에 결코 어렵지 않다.

이 책의 주된 핵심은 바로 행태경제이론이다. 이 용어를 처음 들어 보았다. 용어가 나온다고 해서 어렵다고 생각하지 마시라. 용어만 나올 뿐 이야기는 정말 재미있으니까. 행태경제이론은 경제학과 심리학이 묘하게 결합된 것처럼 보인다. 어울리지 않는 만남 같지만 마치 오래된 친구 마냥 잘 어울리는 파트너다.


우리는 경제적으로 손해를 보지 않으려고 한다. 이것은 모든 사람이 바램이다. 그래서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고 생각한다. 맞다. 인간은 이기적 존재다. 하지만 이기적 존재 만큼이나 인간은 이타적 존재이기도 하다. 이 책에 나와있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한 이야기를 읽노라면 이해가 될 것이다. 반면 인간은 본능적으로 편함을 추구한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귀차니즘은 일부의 사람들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의식이 아닐까. 인간이 합리적이라면 도저히 선택하지 않을 일들도 그저 감정으로 선택해 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사람은 36.5도의 따스함으로 살아간다는 느낌을 가진다.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는 그런 생각이었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성에 더 가까운 동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면 왜 비합리적인 경제 활동을 하고 있을까. 인간에게는 두 가지 면이 공존한다. 이성과 감성, 합리성과 비합리성. 그렇다면 이 책도 바로 두 가지 면이 공존하는 건 아닐까? 경제학과 심리학. 이 책은 결국 기존 경제 이론을 뒤엎고 함께 어울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따스한 심장을 가지고 있기에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