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옳다는 착각 - 내 편 편향이 초래하는 파국의 심리학
크리스토퍼 J. 퍼거슨 지음, 김희봉 옮김 / 선순환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다. EBS 다큐프라임 실험에서 복권을 일부러 떨어뜨리고 어느 행인이 주우면 연기자가 다가와 그 복권을 두 배로 줄테니 팔라는 이야기에 대부분은 팔지 않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알고 보니 거리에 뿌린 복권 중 담첨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 

 

나만 옳다는 착각을 읽으며 갑자기 복권 생각이 났다. 어쩌면 우리는 정말 나만 옳다는 착각에 빠져 사는지도 모른다. 실제론 내가 옳지 않을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첫 이야기부터 흥미를 끌었다. 2009년에 있었던 실제 사고 내용인 에어프랑스 447편이었다. 항공기 조종사는 비행에 있어 베테랑이다. 물론 그 비행이란 것이 여객을 운행하는 그런 비행만 한 것은 아니다. 수없이 많은 시간동안 실제와 똑같은 가상 훈련과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움은 물론이거니와 실제 비행 시간도 많다. 물론 기장 정도면 여객 운행도 베테랑이다. 

 

그런데 저자는 부기장의 실수가 많은 사람을 희생케 했는데 이것을 인내 오류라는 것을 통해 설명한다. 과연 이것 가지고 모든 것이 설명이 가능할까 싶다. 우린 핵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핵이 생각보다는 안전함을 이야기하는 저자의 말에 과연 그럴까 싶다. 물론 과도한 공포를 가져서도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경각심 없이 핵을 받아들이는 것도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솔직히 저자 또한 자신이 옳다는 착각에 빠져 얄팍한 심리를 이용해 자신의 논리를 대변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경 단체의 논리도 나름 일리가 있는 것인데도 저자는 마치 이것 또한 자신이 옳다는 착각에서 오는 무지함의 소치라고 결론 내린것 같았다. 저자가 어디에도 속하는 것 없이 중립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착각하겠지만 저자 또한 중립적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의 또 다른 논리를 만들어 놓았을 뿐이다. 여기엔 충분히 반대 의견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연약함을 돌아보는 이번 여행이 즐거웁기를 바라며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기를 소망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모든 것이 아쉬울 뿐인 책이었다. 첫 이야기는 눈길을 끌었지만 그것을 정말 합리적인 판단으로 이끌 수 있는 심리적 논증은 약해 보인다. 내가 이상한 사람이었을까. 책 읽는 것이 불편하고 힘들었을 뿐이다. 번역의 문제인지 아니면 실제 저자가 이런 이야기를 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더구나 좌파 우파 하는 것 보다 차라리 진보적인 보수적인 하는 것이 더 어감이 좋았을 거라고 여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