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소설을 읽으면 때론 주인공이 되어 감정이 들어갈 때가 있다. 이런 소설은 뭔가 여운이 오래 남는다. 타인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을 때 대부분은 이런 인생도 있구나 저런 인생도 있구나 하며 읽기 마련인데 문미순의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이란 소설은 마치 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느껴지는 그런 이야기다. 

 

소설이 허구의 이야기지만 리얼리즘이 살아있다는 느낌이 들 때 소설은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가 되고 삶이 된다. 어쩌면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은 이런 점에서 마치 우리 이웃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명주와 준성으로 대표되는 소설의 인물들은 어디선가 살아가고 있는 우리 이웃이다. 그들이 처한 현실은 바로 나의 모습이고 너의 모습이고 우리의 모습이다. 열심히 살아가고자 하지만 상황은 따라주지 않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한 그런 설정이 과하다 싶다가도 뉴스 속에서 들려오는 소식을 접하다 보면 소설 속 인물 설정이 과한 것만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이혼을 한 후에 홀로 어머니를 모시고 살아가는 명주는 끝내 돌아가신 어머니와 함께 살 수밖에 없는데 그것은 연금 때문이다. 뭔가 극적인 요소 같지만 현실에도 있을 법한 이야기라 더 가슴 아프게 여겨진다. 준성도 마찬가지다. 그래서일까. 두 인물이 나중엔 서로 만나 의지하게 되고 위안이 되는 존재가 된다. 어쩌면 다른 희망의 발견이랄까. 

 

소설 마지막 부분에 대리 기사의 대목이 눈이 오는 날이라고 하는데 눈이 오게 되면 대리 기사들은 위험해서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 이때 대리 기사가 부족하니 오히려 대리비가 오르게 된다는 씁쓸한 이야기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여러모로 현실은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소설 같지 않은 소설이다. 마치 체 게바라의 유명한 명언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가 생각났다. 그래도 이 소설의 결말이 아주 희박한 미래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어쩌면 우리가 진지하게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그 안에서 치열하게 문제에 대한 다른 생각을 해보게끔 하는 작가의 치열한 사고 방식이 감탄할 만 했다. 쉽사리 어떤 결정 내지 결론을 내리기 힘든 상황 속에 처한 인물들 속에서 우리의 겨울을 지나온 방식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이 정립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