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도자란 무엇일까? 지도자라면 나라의 위태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그런 의문을 가지면서 한 나라를 책임지는 자리는 그만큼 무거움을 느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어떻게 변하는가? 사실 우리가 느끼지 못할 정도로 세상은 변한다. 주변 상황이 변하지 않는다 해도 세상은 늘 변해 왔고 변하고 변할 것이다. 현실에 안주한다는 건 그 자신이 멈출 뿐이다. 

 

지도자는 사람을 이끄는 사람이다. 비록 왕권 사회라 해도 그렇다. 백성이 존재해야 왕도 존재하는 법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올바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 바로 왕의 자리가 아닌가 싶다. 그런 의미로 보자면 조선의 몇몇 왕들은 지도자가 아니었다. 그 중 인조도 들어간다. 

 

주변국의 동향이 심상치 않았다. 그럼에도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 건 과거를 통해 배우지 않아서였을 것이다.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인조는 듣지 않았다. 굳이 들으려고 하지도 않은 것 같다. 그런데 문제는 한 번 실패의 경험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고자 하는 노력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오히려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놓쳐 버렸다. 

 

책은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이전의 이야기, 전쟁 중 이야기, 이후의 이야기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책은 전반적으로 인조와 그 시대상을 이야기 한다. 사건의 배경이 되는 흐름을 설명하여 왜 이런 사건이 벌어지게 되었는지 이해가 쉬웠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저자가 참 쉽게 풀어 쓴 느낌마저 가지게 한다. 

 

왕이 비록 도망다니며 난리를 부리는 이런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나라를 위해 희생했던 사람들을 기억하고 싶다. 장수가 아니라면 이름도 없이 죽어간 민초들. 그 하나 하나의 사연을 다 알아갈 수 없지만 끝까지 투쟁했던 용맹한 전사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은 마음이다. 

 

남한 산성은 단지 관광차 가기보다 역사를 알고 가면 더 뜻깊은 의미들을 되새겨볼 수 있을 것이다. 빛나는 역사든 아픈 역사든 역사에서 배우고자 하는 부분은 반드시 배워야 한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유명한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꼭 기억하고 학습해야 함을 우리에게 넌지시 알려주는 것이 바로 이런 책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병자호란에 관한 책을 추천한다면 단연코 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