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한국 근대사 - 실패를 넘어 자주적 독립 국가를 꿈꾼 민중의 역사
김이경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에서 근대사를 배울 때면 정말 답답했다. 어쩔 수 없는 시대적 상황과 힘이 없는 민족의 특징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하고 속절없이 무너지는 것이 우리 역사였다. 한 마디로 근대의 역사는 가뜩이나 힘이 없는 민족이 자신의 안위만을 생각하다가 힘 있는 민족에게 지배를 당한 치욕의 나날이었던 것이다. 

 

김이경의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한국근대사를 읽었다. 처음 이 책을 접하게 된 계기는 교과서에서 배웠던 역사가 전부는 아닐 것이라는 일종의 반감 때문이었다. 근대라는 기간이 역사적으로 본다면 짧게만 느껴져도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고 이전에는 없었던 사건들과 인식의 변화들이 시작되는 시점이기에 오히려 변화로 인한 혼란스러움이 시기를 덮고 있었기에 가장 스펙타클한 시기였을 것이다. 

 

근대사는 우리에게 있어 어차피 실패한 역사다. 그런데 이 실패한 역사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또 배우고 알 수 있을까. 임진왜란 ??에 이순신이 있어 바다를 지킬 수 있었다. 그런데 과연 이 한 사람만이 모든 역할을 다했다라고 할 수 있을까. 비겁하게 도망가는 장군을 대신하여 기꺼이 싸우고자 했던 사람들도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했으며 이 사람들이 없었다면 바다에서의 승리도 장담할 수 없었으리라. 

 

물론 근대는 실패한 역사였지만 그래도 나름 저항했던 사람들이 있었다. 을사오적이 나라를 통째로 일본에 넘기려고 했던 그 순간에도 곳곳에서 저항의 물결이 일어났고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그리고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보존하기 위해 급급하여 외세에 맞서 싸우기는 커녕 오히려 그 힘을 이용하고자 했다. 

 

저자는 우리 민초들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갑오농민혁명을 통해 조선의 봉건 체제를 완벽하게 뒤엎지는 못했어도 결국 무너지게 만든 그런 사건과 반일 의병 운동을 통해 곳곳에서 일본에 저항했던 사건들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의 달콤한 전략 때문에 개인의 안위만을 생각하고 일본에 협력한 사람들이 참 많다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에 못지 않게 반일 의병 활동이 이렇게나 많았다는 것은 미처 알지 못했다. 그래서 근대사에 관한 다양한 책을 읽어야 하나 보다. 다만 사건을 저자의 억지로 끼워 맞추려는 듯한 느낌이 드는 건 아쉬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