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역사 - 시대를 품고 삶을 읊다
존 캐리 지음, 김선형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란 무엇인가 이런 담론을 논하기 전에 재수생 시절 국어를 가르치셨던 선생님이 기억에 남는다. 분석하며 시를 배운 탓에 시를 가슴으로 읽은 적이 없었다. 그런데 천상병의 귀천이란 시를 배울 차례였는데 갑자기 두 눈을 감으라고 한 다음 선생님은 그냥 시를 읊었다. 말 그대로 낭송으로 듣던 시였다. 시가 이런 울림이 있구나 하며 느꼈다. 

 

존 캐리의 시의 역사란 책을 읽으며 역사적으로 우리에게 울림을 주었던 시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했다. 책은 방대한 내용을 담으려다 보니 각 역사의 간략한 소개만 나열했다. 길가메시 서사시가 인류 최초의 시라고 하지만 과연 시인지도 의문이고 실제로 시 다운 시를 소개한 것은 중세 유럽 대륙의 거장들에서 나온 시였다. 

 

시가 우리 주변이 일상과 자연을 노래하기도 하지만 시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알게해 주는 역사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시가 어떤 시대적 환경에서 씌어졌는지 살펴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채 시를 읽는다는 것은 팥의 깊은 맛을 음미하지 못하면서 단팥빵을 먹는 것과 같은 일이다. 

 

책에 나온 대다수의 시인과 시는 모르는 것이 많았지만 어쩌다 아는 이름이 등장하면 반가웠다. 더구나 아는 시가 나왔을 땐 너무나 반가웠다. 시를 좋아한다고 하면서도 모르는 시가 참 많다고 생각했다. 그만큼 외국 시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였을 것이다. 시의 힘이란 다른 것이 있는 것이 아니다. 짧지만 긴 울림 이것이 시의 매력이다.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도 그 의미를 알 수 있고 깊이 있게 느낄 수 있게 하는 힘이다. 

 

너무 방대한 역사를 담으려다 보니 한 시대 한 시대의 이야기가 짧게 스쳐 지나가는 듯한 아쉬움이 남는 책이지만 그래도 그동안의 시의 역사를 이렇게나마 알 수 있어 좋았다. 왜냐하면 시란 우리의 시대를 기록하는 노래이기도 하고 그 노래엔 우리 삶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삶이 들어있지 않은 시 혹은 문학은 있을 수 없다. 인간의 삶을 노래하기에 시가 빛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빛난 역사의 조각 조각들을 책은 다양하게 담았다는 점에서 이 책의 매력을 엿볼 수 있다. 

 

시를 잘 읽지도 않는 시대에 시의 역사라니 별로 쓸모 없는 책이라고 여겨질지도 모르지만 시가 없는 시대는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가 사는 삶 자체가 시다. 그러니 이것만으로도 이 책은 우리가 한 번쯤 들추어 보아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