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 - 세계질서의 위기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G. 존 아이켄베리 지음, 홍지수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완전한 것은 없다. 어떤 이론도 어떤 사회 사상도 그 나름의 장단점이 있다. 소련의 붕괴가 곧 공산주의가 잘못된 혹은 틀린 것이라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어쩌면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그런 현상을 만든 것이지 어느 하나 완전한 것은 없다. 민주주의 혹은 자본주의가 다 옳은 것이냐 할때 과연 그럴까. 

 

존 아아켄베리의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상이란 책을 읽었다. 어느 것도 완전한 것이 없다고 했는데 마찬가지로 민주주의 역시 완전한 것은 아니다. 그러다보니 여기 저기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 책은 그런 민주주의의 허점을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라는 것으로 설명한다.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란 다소 생소한 용어를 등장시켰지만 1917년 윌슨 대통령이 의회를 상대로 한 연설에서 독일에 대한 전쟁 선포에 있어 이 전쟁은 민주주의를 실행하기에 안전한 세계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고 주장한 연설이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에 시초가 된다고 한다. 

 

국제사회는 여전히 분쟁이 있고 테러가 있다. 이런 위험한 세상에서 안전하게 생존할 여건을 만드는 것이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다. 저자는 특정 시대의 특정 사람을 중심으로 이 이론과 논리를 펼쳐갔지만 사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생각의 자유까지 저자는 고려해 보았을까 싶은 마음도 있다. 

 

전 세계가 예측하지도 못한 순간을 우리는 맞이했다. 이런 불확실한 시대의 흐름 속에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지난 역사를 통해 우리가 한 번쯤 되짚어보아야 할 국제 질서가 있다면 노크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세계대전이란 것은 국제질서의 향방을 가르는 기준이 될 것이다. 사상과 세계관의 충돌 속에서도 굳건하게 지켜낸 질서를 따라가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가는 세상의 이상향을 따라 자유주의적 국제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알아보는 것도 좋겠다 싶은 마음이다. 민주주의를 보호할 최상의 방법이라 저자가 강조하니 말이다. 

 

어느 것이나 갈등은 반드시 존재한다. 갈등 속에 대립이 되어 서로 싸우는 형식이 아니라 서로 마음을 열어 대화를 나누고 갈등을 좁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양한 것을 보고 느끼려는 열린 자세로 상대를 바라보며 함께 갈 수 있는 그런 민주주의의 모습이 절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