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 지성의 이야기
정아은 지음 / 문예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투가 우리 사회에 일으킨 반향은 컸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여성의 목소리가 커진 것이다. 많은 여성들이 수치심을 당하면서도 그에 따른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그건 사회의 인식이 남성 중심으로 되어 있어 여성이 한 인격체로서 목소리를 높인다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 부정적인 이야기도 존재한다. 오히려 남성이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미투를 악용해서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에게 죄를 덮어 씌우며 사회적 암매장을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란 소설을 읽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 이름은 지성이다. 지성은 이 시대의 지식인을 대변하는 인물 같다. 평론가란 직업을 가지고 방송에도 나온다. 정치적인 색깔을 굳이 나타내라고 한다면 진보적인 인사가 아닐까 싶다. 운동권에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아내와 같이 살지 않아서 소설 처음에 자신도 모르는 여자가 집에 있다는 설정으로 시작되는데 왜 굳이 그런 설정으로 소설을 시작해야 했는지 모르지만 암튼 지성은 현재 홀로 있는 중이다. 이런 지성에게 관심을 가진 인물이 민주이다.

 

민주는 시인이며 이미 아주 인기가 많다. 출판사에서 너도 나도 책을 출판하고자 하는 그런 인기를 가진 사람이자 문단에서 가장 이쁘다고 할 정도로 미인이다. 그러다보니 가는 곳마다 시선을 받고 서포라이트가 집중된다. 지성과는 친분이 있다. 운동권 선후배로 만났다.

 

민주는 지성에게 고백한다. 그 고백이 보기좋게 차였다. 그런데 일이 벌어졌다. 민주는 죽었고 그 죽음의 화살은 지성에게로 향했다. 그동안 지성은 양심적 지성인으로 묘사될 정도인데 이런 사람이 미투의 가해자로 몰렸다. 지성은 한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졌다. 많은 사람들이 지성을 위선자로 낙인찍으며 말이다. 사람들의 실망과 함께 끝모를 구덩이로 추락해 나가는 지성이었다. 하지만 끝내 사실은 밝혀진다. 지성은 가해자가 아니었다. 하지만 가해자였다. 전소현이란 인물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어떤 사건이 있을 때마다 거기에 따라 이런 저런 말들을 내놓는다. 그 말이 절대 사실일 수가 없는 것이 부풀려지기 때문이다. 사건을 최대한 객관화 시켜서 생각해야 하지만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판단하여 말을 한다. 어쩌면 이 소설은 말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말이 무서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