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보는 식물학자 - 식물의 사계에 새겨진 살인의 마지막 순간
마크 스펜서 지음, 김성훈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 소설을 읽으면 재미있다. 뭔가 하나의 작은 단서만 있다면 그것을 가지고 유추하여 범죄 현장을 이야기할 수 있기에 그렇다. 하지만 소설은 과연 얼마나 실제와 닮아 있을까? 이것이 의문이다. 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작은 단서 하나를 가지고 유추해가며 하나 하나 실타래를 풀아가는 소설을 읽는 것은 아주 흥미로운 일이다.

 

언제부터 우리 사회에 법의학이란 말을 쓰기 시작했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겠지만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법의식물학이란 이야기는 처음 들어 본다. 이런 것이 있었는지조차 몰랐다. 마크 스펜서의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란 책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이 책은 바로 법의식물학에 대한 학문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다만 소개하는 이야기다.

 

식물학이란 것도 생소한데 법의식물학이라. 처음엔 무얼 연구하는 것일지 궁금했다. 식물학은 생물학에 속한 작은 연구 분야이고 법의식물학은 저자도 이야기한 것처럼 이걸 전문으로 배우고 자격증을 주는 국가는 아직 없다고 할 정도로 생소한 분야다. 다만 처음엔 생물학을 전공해서 세부적인 식물학을 공부하여 어느 정도 이 분야에 대한 학식과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법의식물학을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자연사박물관에 근무했다. 그런데 우연히 전화 한 통을 받게 된다. 시신이 발견되었는데 이 시신에 덮여 있는 식물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알고 싶어했다. 현장은 참혹했지만 저자는 이 일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오죽하면 전화를 기다리는 형편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의 삶을 택하게 된다.

 

책에서 언급된 블랙베리덩굴은 처음엔 블루베리 덩굴이라고 생각했지만 블랙베리가 따로 있고 우리나라에선 검은 딸기라고 부른다고 한다. 열매가 오디처럼 생겼는데 블랙베리가 장미과에 속한 식물이고 오디가 뽕나무과에 속한 식물이라 태생이 다르다.

 

식물을 통해 시체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유추하고 식물의 줄기나 심지어 꽃가루도 범죄 현장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식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실로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이야기를 읽으면서 꽤나 흥미로운 점은 이런 것들이었다. 마치 추리소설을 읽는 듯한 기분마저 들었으니까. 다만 저자 자신의 이야기가 조금 길어 자칫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자신의 이야기는 아주 짧게 넣고 범죄 현장에서 식물을 이용하여 추리해 나가는 과정을 더 많은 이야기로 풀었으면 더욱 좋았을 것이다. 학문적인 소개가 아닌 책이니까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럼에도 책은 충분히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