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를 걷다 - 3·1부터 6·10까지, 함께 걷는 민주올레길
한종수 지음 / 자유문고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로부터 해방되고 나서도 한동안 우리나라는 혼란스러움 자체에 놓여 있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도 제대로 된 인식 없이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를 제대로 활용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수십 년의 기간 동안 한 명의 지도자가 모든 영향력을 발휘하는 그런 정치 체제에 있게 된 것이었다.

 

민주주의란 무엇일까? 한종수의 민주주의를 걷다란 책을 읽으면서 고민해 본다. 삼일절부터 1987년의 민주화운동까지 그 역사적 자취를 따라 올레길을 만들어 걷는 여정이다. 굵직 굵직한 역사의 내용이고 내용도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사실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을까 하는 의문도 들었지만 그래도 그 흔적을 찾아 걸으며 지난 역사를 되새겨 보는 것이 커다란 의미가 있을 것 같았다.

 

한동안 한참이나 다녔던 교보문고 길에 새로 엽상섭 동상이 세워졌다는 이야기는 이 책을 처음 알게 되었다. 관심을 두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책에 소개된 대부분의 장소가 관심을 두지 않으면 그냥 지나쳐도 모를 정도가 아닐까 싶다. 물론 기념관 같은 번듯한 건물이 있는 곳이라면 우리가 들어가서 역사적 흔적을 더듬어 볼 수 있겠지만 그냥 터와 작은 표식으로 남은 곳은 일부러 찾아보지 않는 이상 역사의 흔적을 살펴보기란 여간 힘들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올레길을 만들어 어느 곳에 무엇이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니 일부러라도 역사 체험을 해도 좋을 것 같다.

 

내가 알지 못했던 인물에 대한 잠깐의 소개도 좋았다. 송계백, 후세 다츠지, 최성묵, 강은기, 김귀정, 박귀순 등 다 나열하기 힘들지만 짧막한 소개를 통해서라도 그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다시 광주에 대한 이야기를 접했다. 단 한 번도 광주에 가본적이 없다. 다만 언젠가는 광주에 가보리라 생각만 했다. 정찬의 광야를 읽으면서도 임철우의 봄날을 읽으면서도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읽으면서도 광주에 한 번은 가봐야겠다라고 생각하면서도 지금까지 시간만 흘러보냈을 뿐 광주를 가보지 못했다. 또 생각한다. 5. 18민주 올레길을 가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번 만큼은 생각으로 그치지 않기를 바란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은 과거의 역사가 만들어 낸 선물 같은 날이다.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이야기처럼 역사를 알고 깊이 새길 필요가 있다. 글자로 읽는 것도 좋지만 눈으로 보는 것도 중요하다. 민주올레길이란 것은 참으로 귀한 작업이며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다. 이런 것을 기획하고 글을 써서 책으로 낸 저자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