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오의 한국현재사 - 역사학자가 마주한 오늘이라는 순간
주진오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정의에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바로 카의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것이다. 역사가 흘러간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도 영향을 주는 이야기이기에 이렇게 정의한 것이다. 

 

주진오의 한국현재사란 책을 읽었다. 처음 제목을 보았을 때 한국현대사를 잘못 본 것이라고 생각했다. 한국현대사가 아니라 한국현재사란 제목 부터가 뭔가 의미심장하게 다가왔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역사란 어떤 가치가 있는 것일까? 역사란 건 결국 당시의 현재 기록물이다. 즉 오늘도 내일엔 역사가 될 수 있다. 뭐 이런 사실을 알려주려는 것이었을까. 

 

흥미를 가지고 읽은 책은 정말 흥미로웠다. 물론 아쉬움도 있기는 하지만 먼저 흥미로운 것부터 이야기를 해보자. 역사의 한 기록을 오늘에 연결시켜보려는 저자의 노력이 돋보이는 결과물이다. 서재필에 대한 재평가에 대한 내용은 오늘 우리가 한 역사적 인물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저자 나름대로 독자들에게 의견을 구하는 것 같았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를 사람들은 옳고 그름에 대한 것으로 인식한다. 어떤 것이든 명과 암은 존재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제대로 된 평가를 해야 한다. 

 

그리고 우린 지나간 것은 쉽게 잊어버린다. 물론 잊지 못하는 사건들도 있지만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다. 물론 그냥 쉽게 지나가버리는 일상 속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지도 모른다. 나에게 직접적으로 와닿지 않기 때문에 너무나 거리가 먼 남의 나라 이야기쯤으로 흘러간 오늘의 기록도 참 많을 것이다. 

 

그래서 역사가 더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나름 역사에 그래도 관심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놓친 것도 많이 있다는 생각에 역사를 다시 살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역사 교과서 문제는 뜨거운 화두였다. 이 문제를 이렇게 마주할 수 있다니 이것 역시 기록하지 않으면 잊혀진 문제나 지나간 소동 쯤으로 기억했을 것이다. 

 

책을 덮으며 "인간에 대한 공감과 연민이 살아 있는 사람의 역사를 만든다"고 한 저자의 글이 눈에 들어왔다. 결국 역사는 이야기다. 그것도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사건의 중심에도 사람이 있어야 한다. 역사를 기록하고 만드는 것은 바로 사람이기 때문이다. 사람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관심이 필요하다. 사람에 대한 기록, 이 모든 것이 역사가 될 수는 없어도 적어도 역사가 될 가능성은 있기에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