킵 샤프 - 늙지 않는 뇌
산제이 굽타 지음, 한정훈 옮김, 석승한 감수 / 니들북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는 나이가 들수록 기능이 저하된다. 이것은 우리가 가진 일반 상식이다. 그런데 새롭게 밝혀지는 뇌과학에서는 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우리가 가진 상식이 아니라 드러나는 새로운 사실을 보면서 늘 배움을 그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산제이 굽타의 킵 샤프란 책은 늙지 않는 뇌에 이야기한다. 우선 뇌란 무엇일까? 뇌를 볼 수나 있을까? 일반인들은 뇌를 볼 수 없다. 그렇다고 의사는 볼 수 있느냐 하면 꼭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아마 신경외과 전문의나 되어야 뇌를 구경할 수가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저자는 살아있는 뇌를 보고 그 기억이 아주 강렬했다는 인상을 남긴다.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이유는 어쩌면 생각 즉 정신이 있다는 것인데 그건 결국 이 뇌의 작용이 아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뇌를 어떻게 하면 잘 가꾸어 나갈지 어떻게 하면 파괴되는지 책은 설명한다.

 

뇌의 특성을 알아가다 보니 흥미로운 부분도 눈에 띄었다. 우리의 몸은 점점 늙어간다 해도 뇌는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단어나 숫자를 외우는 것은 젊은 사람들이 더 뛰어날 수 있다. 하지만 단어가 아닌 어휘력이나 다른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는 일은 나이 많은 사람들이 더 좋다. 그래서일까. 통찰력이란 부분은 오히려 나이가 든 사람일수록 더 좋다는 이야기다.

 

뇌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비법이 있던데 특별한 것은 아니다. 결국은 우리가 몸을 움직여서 뇌까지 자극이 갈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 새로운 언어를 배우거나 취미 활동을 통해 자극이 될 수 있는 신선함을 찾는 것이다. 긴장을 푸는 것 또한 뇌를 활성화시켜 건강하게 유지하게 하는 비결이란다. 영양을 섭취하는 것도 사람을 만나는 것 역시 뇌를 건강하게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무엇보다 충분한 수면도 중요하다. 4시간 자고도 말짱했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거의 거짓말이거나 본인이 기억을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루에 7-8시간 적정 수면 시간이라고 한다. 이 수면 시간을 채우지 못하면 우리 정신은 그만큼 맑지 못하다. 그리고 식습관도 중요함을 이야기한다.

 

건강한 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쉬운 것은 아니지만 아주 못할 어려운 것도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조금만 움직이고 좋은 식습관을 위해 노력만 해도 될 일이다. 거기다 새로운 자극을 위한 언어 공부를 하거나 취미 생활을 하면 더 좋다. 타인과의 관계를 가지는 것도 참 좋다. 좋은 습관을 만들기 위한 노력만 해도 뇌는 늙지 않을 것이다. 굳이 12주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좋은 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