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의 이야기 중에 가장 재미있는 것은 연애이다. 남자와 여자가 만나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는 그 어떤 이야기라도 흥미롭다. 영화 같은 이야기, 소설 같은 이야기 이런 이야기의 핵심에는 사랑이 담겨 있다. 어쩌면 우린 현실에서 쉽사리 이루어지지 않는 그런 이야기에 열광하는 건 사랑은 이성이 아니라 감성으로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줄리언 반스의 연애의 기억이란 소설은 이런 사랑이 가능할까 싶다. 열아홉 살과 마흔여덟 살의 사랑이야기. 테니스 복식 파트너를 하며 호감을 키워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 자체는 이상한 것이 아니지만 이 사랑이 사실 불륜이라고 해야 하나? 어찌 되었든 현실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사랑이야기이다. 

 

남자의 첫사랑. 이 첫사랑의 대상이 남편이 있는 여자이다. 사실 우리 사회의 도덕적 기준에서 보자면 이 사랑은 절대로 이루어져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으로 소설을 읽는 독자라면 그는 소설을 읽을 필요가 없다. 소설은 사랑이야기지만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한다. 난 과연 어떤 사랑을 했고 어떤 삶을 살았을까? 

 

소설은 인칭의 변화도 있고 과거의 회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누구가의 은밀한 삶의 내력으로 빠져드는 듯한 착각을 하게 한다. 그만큼 소설의 구성이 좋다고 할 수 있지만 때론 혼란스럽기도 하다. 소설은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 혼란스럽게 그렸지만 결국 사랑을 하지 않는 것보다는 사랑을 하고 그 사랑을 잃어보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그런데 사랑이라는 것이 일종의 유효기간이 있다. 유효기간이 다다르면 헤어진다. 인간에게 영원한 사랑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할지 모르겠지만 소설 역시 유효기간이 다 된 연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서로에게 아픔과 상처를 주기도 한다. 

 

소설이 허구적 이야기라고 해도 마치 우리 삶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이유는 진실한 삶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소설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가 이렇다. 사랑의 유효기간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묘한 여운이 남는다. 

 

"어쨌든 절대 잊지 마세요 폴 도련님 모든 사람에게는 자기만의 사랑이야기가 있다는 걸. 모든 사람에게 대 실패로 끝났을 수도 있고 흐지부지 되었을 수도 있고 아예 시작조차 못 했을 수도 있고 다 마음 속에만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진짜 멀어지는 건 아니야. 때로는 그래서 더욱더 진짜가 되지 때로는 어떤 쌍을 보며 서로 지독하게 따분해하는 것 같아 그들에게 공통점이 있을 거라고는. 그들이 아직도 함께 사는 확실한 이유가 있을 거라고는 상상할 수도 없어 하지만 그들이 함께 사는 건 단지 습관이나 자기 만족이나 관습이나 그런 것 때문이 아니야 한때 그들에게 사랑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이야. 모두에게 있어 그게 단 하나의 이야기야"

 

우린 사랑했고 사랑하고 사랑할 것이다. 인간의 삶은 그 이야기 있다. 어쩌면 소설이 우리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