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 계약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36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송기정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9월
평점 :
동생이 결혼했다.
그것은 두 가정에서의 분리와 독립된 새로운 가정이 탄생함을 의미한다.
결혼. 이란 단어에는 모든 것이 함축되어있다.
결혼식이란 하나의 상징성과 모든 이들 앞에서 하나의 서약을 한다는 것.
그것을 위해 우리는 상대방을 탐색하고 얼마나 많은 지참금과 혼수. 예물과 예단. 서로 오가는 신경전을 보이는지.
아, 옛 동화 속 공주님과 왕자님은 행복하게 잘살았습니다. 라는 해피엔딩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꼭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을유문화사에서 펴낸 발자크의 『결혼 계약』은 두 작품이 있다. 하나는 말 그대로 『결혼 계약』이고, 다른 하나는 『금치산』이다. 발자크가 살았던 프랑스를 배경으로 본인이 겪기도 했고, 관찰하기도 했던 그 시절의 결혼에 대한 이야기다.
내가 책을 읽기 전, 단순히 책 표지그림으로 유추했던 결혼에 대한 부당성이 여실히 드러낸 작품들이었다. 발자크의 소설은 처음 읽어보는 지라, 이렇게 상세하고 그 당시를 재현해낼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후에 번역가가 쓴 글을 보니 이런 글을 번역하기가 쉽지 않음을 담고 있긴 했다.
그 당시에 결혼 당사자인 신랑과 신부를 제외하고 공증인이 그들의 결합을 추진했다는 것. 오늘날 돈많은 집에서 서로 재산에 대한 사전 계약서를 쓰는 것이랄까? 그렇다고해도 신랑의 장모가 될 여자는 허영기가 가득했지만, 뒤에 뒤통수를 치는 능력이 과히 최고였다. 벼랑 끝에 몰리면 쥐도 고양이를 문다고 하는 격.
그들의 계략에 넘어가 허망하게 모든 걸 잃은 한 남자. 등장인물 한 명 한 명의 캐릭터가 하나의 소설을 구성하는 개연성이 느껴졌다.
『금치산』은 이미 결혼한 여자가 남편을 금치산자로 만들어 재산을 가로채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오늘날에도 이런 경우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긴 했는데, 1800년대의 여성의 지위는 모든 것을 스스로 할 수 없는 처지였다.
남편을 금치산자로 만들더라도 후견인이 있어야했고, 부인임에도 그 재산에 손을 댈 수가 없었다. 여기서도 부인의 능력이 발휘된다. 사교계 인맥을 총동원해 고위직까지 쥐락펴락할 수 있는 재주도 능력.
발자크의 두 작품에서는 허영심 많은 여자들을 보여주면서 결말은 질 것 같은 인상이 들게 하지만, 이를 뒤집는 상상초월을 보여주는 반전이 있다. 얕보다간 큰 코 다친다는 걸. 일명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고 했던가. 독자 입장에서는 이 착한 남자들이 무슨 죄인가 싶다가도 그 당시의 여자들이 가진 한계성을 교묘히 이용하며 자신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는 결과를 가져오는게 과연 나쁘기만 한 것인지.
해설과 주석을 읽으면서 단순히 책 내용으로만 이해할 수 없던 것들이 다시 보였다. 자세히 보고 그 당시의 사회를 생각한다면 발자크가 왜 회자되는 소설가인지가 보인다.
오늘날 결혼과 관련해 19세기 프랑스에서는 어떻게 펼쳐졌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쉽진 않음!
*이 책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