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문화 교양 공부 - 영문과 교수가 들려주는 미국의 과거·현재·미래
유원호 지음 / 넥서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쓸신잡》 시리즈가 여러번 TV프로그램에서 방영된 적이 있는데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더욱 닮았다는 느낌이었다.

 

이 책은 미국이 어떻게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는지 고대 그리스 철학부터 시작해 오늘날의 모습, 그리고 언어와 문화까지 총망라한 잡학사전 같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궁금한 질문을 던지면 그에 대한 답변이 쭉 나열되어있는데, 흥미로운 질문을 먼저 읽어보고 해당 페이지를 찾아본다면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고로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 흥미로울 책!!

 

책의 구성은 미국 문화의 초석과 미국의 과거·현재·미래, 언어와 문화 3part로 구분했다.

 

우리가 기본적으로 아는 독립전쟁과 남북전쟁 외에도 기독교에 대한 내용들, 철학에 대한 내용들, 영어와 신대륙의 역사, 무엇보다 이 책은 영어 공부를 하는데 있어 발음과 어휘, 문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처음에 가볍게 "왜 미국에는 슈퍼히어로가 많을까?"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주의를 끌었다가 마지막엔 영어의 단어에서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라틴어, 프랑스어까지 파고드는 결말이었다. 클라이막스로 치닫을수록 머리가 아프고 복잡해지는 느낌!!

 

아래는 많은 소제목에서 일부 옮겨 적은 부분이다.

 

@슈퍼맨과 기독교의 상관관계

@목요일이 '토르의 날'이라고?

@하나님에게도 이름이 있을까?

@성직자가 주기도문을 못 외웠다고?

@원어민들은 왜 영어 단어를 외울까?

@신대륙에 살던 원주민을 왜 인도인이라고 부를까?

@미국에 월세가 많은 이유

@언어를 배우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왜 외국인들은 자꾸 "캄사합니다"라고 하지?

@'백신'의 반대말이 '소 같은'이라고?

 

영어가 독일어나 프랑스어보다 많은 어휘를 가지고 있는 이유가 있다. 1066년 노르만정복 이후 영국에서 왕족과 귀족들은 프랑스어를 썼으며, 영어는 농민들이 썼다. 그러나 백 년 전쟁으로 영국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왕궁에서도 영어를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영어만 쓰기 시작한 시기는 1485년 튜더왕조가 세워진 때였다. 

 

이후 영어의 어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유는 학자들이 학술저서를 영어로 쓰면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사용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어에는 농민들이 사용하는 영어 단어, 왕족·귀족들이 사용하던 프랑스어 단어, 학술서적에 사용되는 라틴어·그리스어 단어가 공존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인문·역사·교양·문화와 덧붙여 언어의 발달에 대한 과정 즉, 영어까지 공부할 수 있는 신박한 책! 이 책의 저자인 유원호 교수의 기존 저서를 봤다면 알겠지만, 미국 MIT에서 교수를 하다가 귀국해 현재 서강대 영문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응용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그래서 그런지 언어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펴낸 책들도 영어교재이다. 이 책에서도 지금의 영어 단어가 어디에서 유래되었고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또한 변화했는지를 마지막 part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끝까지 읽는 분은 머리가 아플 것 같지만 또한 그런 것을 즐길 수(?) 있는 자세가 된 분이라면 적극 권해 봅니다!!

 

 

 

 



 

 

*이 책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