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개의 미생물, 우주와 만나다 - 온 세상을 뒤흔들어온 가장 미세한 존재들에 대하여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헬무트 융비르트 지음, 유영미 옮김, 김성건 감수 / 갈매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다 읽어도 100개의 미생물을 기억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다. 미생물 이름들이 너무 어려워~~ 앞서 읽은 초파리보다 난이도가 조금 높아보이는 건 아무래도 이름 때문이 아닐까? 물론 익숙한 비피도나 헬리코박터, 코로나, 인유두종 등이 눈에 띄었지만, 처음 듣는 이름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천문학자와 생물학자가 이야기하는 걸 들어보면 태초에 인간이 존재하기도 전에 있었고, 인간이 사라진 뒤에도 오래 남을 미생물의 존재.  우주의 행성 탐사에서도 외계 생명체를 찾고, 미생물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사실. 한 사람의 신체 안에 있는 세균 수도 100조 개에 이르고, 인류의 역사, 일상, 건강, 환경 모든 삶의 근간이 미생물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상의 미생물은 칼 워즈의 분류법에 따라 세균과 고세균, 진핵미생물로 나눌 수 있고 이 책에서는 바이러스까지 포함하고 있다. 책에 나오는 분류는 위에 따르면 세균이 29개, 고세균이 23개, 진핵미생물이 23개, 바이러스가 24개, 지구상의 생명의 조상 루카LUCA 1개다.

 

천문학에서 항성 목록을 만들 때는 일련번호를 부여하지만, 미생물은 대부분 라틴어나 그리스어에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이들 언어에 익숙하다면 이름 자체가 많은 것을 알려준다고 하는데 알 수 없는 나는 어리둥절... 그래서 더 눈에 익히기 힘들었나보다.

 

자연에서 보통의 미생물은 형태가 없거나 둥근 형태를 띠는데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띠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미생물의 모양은 내부 액체가 결정한다는 사실! '삼투압'이 중요하다.

 

미생물들은 어느 곳에나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얼음 속에도, 끓는 물에도, 지구 깊은 곳에도, 고산지대에서도, 염도나 산도 혹은 독성 물질이 있어서 인간은 절대로 살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산다. 심지어 폐수 속에서도.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사는 미생물을 토대로 우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인간 역시 포유류로서 우리 안에 세균과 미생물들을 합친 존재이다. 생명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알고자 한다면, 다양한 종 사이의 전체 협업도 이해해야 한다. 인간, 풀, 세균을 막론하고 아무도 혼자서만 살아갈 수 없다.

 

전 세계 인구가 70억이 넘지만, 1990년 대 펠라지박터 유비퀴는 바다의 모든 살아 있는 미생물 세포의 4분의 1정도를 이루었고, 2013년에 발견된 펠라지박터 유비퀴를 감염시키는 HTVC010P는 스스로 복제하는 바이러스로 개체 수가 가장 많은 걸로 알려졌다. 모든 바이러스를 일렬로 세우면 1000억 광년이라고 한다는데...

 

우리가 볼 수 있는 사자나 코끼리의 동물원을 본따 미생물 동물원도 있다고 한다. 2014년 암스테르담 동물원 내에 세계 최초로 미생물관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름이 '마이크로피아 Microopia'. 오스트리아에서도 인스부르크 치를에 '미크로브알피나 MikrobAlpina'가 2022년 개관 예정이라고 한다.

 

기억에 남는 내용들을 정리해봤는데 이외에도 놀라운 사실들이 많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바이러스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책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낯설었던 미생물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하나둘 공부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갈매나무 10기 서포터즈 활동으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