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태왕 담덕 2 - 천손신화
엄광용 지음 / 새움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은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 근초고왕의 평양성 전투에서 고국원왕이 화살에 맞아 사망하면서 태자인 구부가 왕이 되어 내부 개혁을 이루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대왕 구부가 후에 소수림왕으로 불리는데, 조카인 광개토태왕이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토대가 이 때 이루어지게 된다. 광개토태왕 담덕(談德)의 이름은 구부와 을두미가 논의해서 지은 것으로 깊고 그윽하다는 뜻과 은혜를 베풀다, 바로 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소수림왕 하면 불교공인, 태학설립, 율령반포 등 내부 개혁의 내용이 떠오른다. 그 과정이 2권에서 나오는데 앞서 1권에서 나온 불교에 관심이 많던 태자 시절, 승려 석정과 유대관계를 맺었다. 석정은 전진에 사신단으로 파견돼 옛날 승려 아도와의 인연으로 승려 순도까지 고구려 불교 전파에 힘을 보태게 된다. 초문사와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호국불교를 숭상케 하며 사월 초파일 행사를 성대하게 치루게 한다.

 

왕태제인 이련은 사부인 을두미를 국내성으로 모셔가 고구려의 발전에 보탬이 되게 하려하고, 동궁빈 연화의 왕손 출산 문제에 얽힌 모종의 사건으로 연나부 세력은 힘을 잃게 된다. 그러나 왕후의 자결로 전 국상인 명림수부가 동부 하대곤과 손을 잡고 반역을 하려다가 결국 실패한다.

 

대왕 구부는 백제 태자 수가 아버지 사유를 죽인 것을 잊지 않고, 수곡성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여기에는 지난 평양성 전투에서 고국원왕이 사망한 것을 알고 백제왕 구가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않고 돌아간 것을 본보기로 삼아 구가 투병한다는 소식에 더 이상 진군하지 않는 예를 보인다.

 

이렇게 봤을 때, 비록 자신의 후손을 낳진 못했지만 고구려의 내부 결속을 다지고 백성들이 평안하게 살 수 있도록 노력한 소수림왕이 새삼 다시 보인다. 1권에서는 다소 유약하게 느껴졌던 캐릭터가 왕이 되면서 개혁군주로 변화된 모습이 보였다.

 

담덕이 태어남을 부처님에게 열심히 빌었던 동궁빈 연화의 노력은 성공적이었으나, 이는 연나부 세력에게 죽임을 당할 뻔 했던 위기의 순간도 있었다. 연화와 이련, 을두미의 무술 실력이 미약했다면, 석정이 위기의 순간을 극복하지 못했다면, 혹은 소진이 역모의 기미를 미리 알리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2권에서 궁금한 인물이 생겼다. 추수가 키우는 아이다. 이 아이는 커서 어떤 인물이 될까? 그리고 소진이 나아갈 길과 소진 앞에 나타난 중년의 사내, 해평까지. 연나부 세력의 역모는 실패했지만, 하대곤과 해평을 지지하는 세력. 무명선사로 불리는 왕제 무까지. 

 

흡인력이 있어 2권도 금방 읽을 수 있었지만, 그 중엔 우리가 알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과 사건들을 생각하며 작가는 이렇게 상상력을 발휘할 수도 있구나하며 읽었다.

 

 

 

*담덕북클럽으로 지원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