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밤, 세계에서 이 눈물이 사라진다 해도
이치조 미사키 지음, 김윤경 옮김 / 모모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스트셀러인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를 읽은 독자라면 이번 책이 반가울 것 같다. 스핀오프로 이어지는 '오늘 밤, 세계에서 이 눈물이 사라진다 해도'는 와타야 이즈미를 주인공으로 가슴 아픈 사랑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선행성 기억상실증을 겪는 히노 마오리와 평범하지만 다정한 소년 가미야 도루의 사랑을 응원하지만 자신 또한 가슴 아픈 첫사랑을 쉽게 잊지 못해 새로운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나는 앞의 소설을 읽어보지 못했는데 이번 책에서 둘의 사랑이야기를 옆에서 지켜보며 이야기를 전하는 이즈미를 보며 대략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친구의 연인을 짝사랑하는 소녀의 이야기. 그 후의 이야기를 이 책에서는 전하고 있다.

 

선행성 기억상실증으로 남자친구가 죽었다는 사실도 몰랐던 마오리와 그 사실을 비밀로 해주길 바랐던 도루의 소원도 참 가슴아팠지만, 그 비밀을 지키기 위해 혼자 감내해야했던 이즈미의 마음이 구구절절하다.

 

그러나 이런 소설임에도 '세상의 마지막 기차역'만큼 슬프진 않았다. 마지막의 한 구절에서 눈물이 찔끔나긴 했다. 

 

"나보다 먼저 죽지 않았음 좋겠어."  새로운 남자친구에게 전하는 단 한 가지 소망이고 조건이었던 말.  사랑하는 사람을 혼자 두지 않길 바라는 그녀의 마음이었다.

 

풋풋한 학창시절의 짝사랑을 떠올리며 읽었던 이번 책은 앞서 책을 읽었더라면 더 와닿았을까? 그런 생각을 해본다. 이번 책에서 이미 스포당해버린 독자는 맥이 빠질 것 같다.

'꿀벌과 천둥'의 스핀오프 '축제와 예감'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이또한 음악콩쿠르가 끝난 후의 내용을 담고 있어 이번 경우와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역시 앞선 내용을 먼저 읽어봤어야했다며 약간의 후회를 한다.

 

그럼에도 기억에 남는 구절을 담아 기억해본다. 첫사랑을 떠올리며, 학창시절을 떠올리며.

 

여기에 있는 것은 0이 아니라 성장하지 못한 1이라고 느꼈다. 0은 무슨 수를 곱해도 1이 되지 않는다. 0과 1 사이에는 무한과도 닮은 거리가 놓여 있다. 단순히 지나가는 사람이나 배경의 일부로서 0으로 끝나고 마는 경우도 많다. 호들갑일지는 모르지만 나와 와타야 선배 사이에는 1이 있었다.

 

자기 본위로 살아가면서 타인은 생각하지 말고 그저 자기가 하고 싶은 일만 했으면 좋겠어. 그리고, 타인에게도 아무렇지 않게 미움받았으면 해. 그렇게 하고 싶은 대로 세상에서 활개 쳤으면 좋겠어.

 

소중한 건 전부 자신 안에 있다고, 언젠가 도루를 기억해내겠다고, 마오리는 그렇게 말했다. 나는 도루를 잊으려 하고, 반대로 마오리는 생각해내려고 애쓰고 있었다. 그 대비를 아무 말 없이 바라본다. 어느 쪽이 옳다고도 틀렸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각자 살아가는 방법이 있을뿐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을 향한 마음과 감정은 어때야 하는 걸까.

 

있는 것은 없어지지 않는다. 그저 인정하면 된다. 그대로 소중히 여기면 된다.

 

가능할까, 내게. 그렇게 상대를 소중히 여기는 삶이.

 

 

문장을 기록하면서 느낀 것이지만, 우리가 소중한 것을 잃었더라도 가슴 깊이 간직한 채로 추억하고 기억하는 것을 잊으려고 노력만 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다.

 

다들 가슴아픈 사랑을 해보거나, 소중한 사람을 떠나보낸 적이 있다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될 것 같다. 비록 잃었더라도 다른 형태의 감정이나 습관으로 남아 있는 것이 있다는 것. 그것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스튜디오오드리 공식계정에서(@studio.odr)에서 출간기념 구매인증 이벤트를 한다고 하니 참여해보세요~

 

 

*오드림 2기 활동으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