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만든다는 것 -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영화인의 말 지노 지혜의 말 시리즈
제이미 톰슨 스턴 지음, 이다혜 옮김 / 지노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제이미 톰슨 스턴은 작가이자 편집자, 시나리오 컨설턴트이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극을 하고 공연을 했지만, 스스로가 배우가 되기엔 부족하다고 생각해 종이 위의 이야기로 영화같은 삶은 살고 있다.


책을 펼쳐보고 조금 놀란 부분이 있는데 서술의 형태가 아닌 영화감독과 시나리오작가, 제작자, 촬영감독, 배우, 비평가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은 형식으로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왼편엔 영어가, 오른편엔 해석으로 되어있다. 일종의 영화 명언집 같다고 할까?

 

영화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모든 스탭과 배우, 감독, 제작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책은 영화를 만드는 것만큼 영화에 애정을 가지고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으며 할 말을 하는 그들의 이야기다.

 

우리가 말하듯이 그들이 말한 내용이 한 문단, 한 문장으로 표현되어 있어 가독성이 좋았다. 한 편의 영화가 세상에 나왔을 때 관객들은 보고, 느끼고, 비평을 가하며 영화에 대해 평론을 한다. 한편으론 무관심했던 일에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알려지지 않은 것들과 사건들을 파헤친다. 그것이 우리에게 와닿았다면 흥행에 성공할 것이고, 감독만의 스타일로 예술을 추구한다면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영화감독은 상업성, 대중성, 오락성과 예술성,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영화 사이에서 고뇌를 한다. 그 생각들도 그들이 한 말에서 보인다.

 

 

"영화감독이 되는데 진짜 마법은 필요 없다. 나는 마음속으로 완성된 영화가 어떨지를 상상할 뿐인데 완성된 영화와 매일 촬영할 장면 모두를 상상한다. 언제나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또 본다. 나는 이 가상의 정신적 영화에 대한 상을 가지고 현장에 임한다. "  - 피터 잭슨 -

 

"나는 내가 영화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알고 있다. 내가 왜 리뷰에 신경써야 하지? 박스오피스에 왜 신경써야 하지? 하지만 내가 그 질문을 하자마자 내 머릿속 목소리가 언제나 이렇게 대답한다. "당신은 신경써야만 하니까.""  - 론 하워드 -

 

"대부분의 영화들은 세계를 반영한다. 그 세계는 폭력적이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 영화는 평화로운 세계를 폭력적으로 만들지 않는다. 폭력적인 세계가 영화들을 만든다."  - 데이비드 린치 - 

 

 

영화에 관심있다면 이 책의 명언들을 눈여겨보자.

 

 

*이 책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