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헤어웨어 이야기 - 신화에서 대중문화까지
원종훈.김영휴 지음 / 아마존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가 삭발을 하며 결연한 의지를 다지고, 여자가 긴 머리카락을 자르며 미련을 떠나보낼 때 우리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에 하나의 의미를 둔다.


"아름다움이란 절대 완전하고 변경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움베르토 에코 [미의 역사]

 

신화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머리카락과 헤어스타일의 역사가 담겨 있는 이 책은 올칼라 그림으로 되어있어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다. 내용만 있는 부분도 있어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그림이 풍부하게 실려 있어 헤어에 대해 아는데 도움이 된다.

 

신화와 전설 속에서 우리는 긴 머리가 나풀거리는 그림을 많이 봤을 것이다. 대체로 긴 머리카락은 신비로움과 과시, 신성시 하는 의미를 지닌다. 

우리가 아는 메두사의 뱀 머리카락은 여신 아테나의 저주를 받아 아름다웠던 머리카락이 흉칙하게 변했다는 내용이다. 오늘날 명품 베르사체의 심볼이며 브랜드의 상징이 메두사인데, 자신을 바라보는 모든 존재를 단단한 돌로 만드는 괴력을 압도할만큼 아름다운 힘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낸다. 

책에서는 슬라브 신화, 켈트 민담, 북유럽 신화, 유럽의 시작을 알리는 왕조 신화와, 로마 제국, 중국, 몽골 설화까지 소개하고 있다. 서양에서 하나의 공통적인 내용은 금발을 신성시하고 지위가 높은 신분으로 봤다는 점이다. 

 

머리카락 뿐만 아니라 가발에 대해서도 빼놓을 수 없는데, 이집트와 우리나라를 빼놓을 수 없다. 이집트인이 가발을 쓰게 된 계기는 기후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덥고 건조한 아열대기후 탓에 머리를 짧게 자르고 가발을 썼다.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벽화 속 그림이나 유물에서 보이는 모습 이면엔 모르는 고충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쌍영총 고분 벽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가체를 얹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 들어와 널리 유명해지며,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에서도 알 수 있다. 머리를 매만지는 전문 장인도 있었다고 한다. 이는 중세시대에 프랑스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화려함의 절정이었던 루이 14세부터 16세에 이르기까지 귀족들은 온갖 사치에 빠져 헤어스타일의 높이가 50cm에 이르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변발이 원나라로부터 들어와 고려 시대에 유행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머리카락은 다양한 스타일과 금지,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는다. 유교 사상이 들어와 머리를 자를지언정 머리카락을 자를 순 없다고 외쳤던 단발령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익히 배운 내용이다. 그러나 개화사상이 들어오면서 단발이 유행하는 시대도 있었다. 모던걸이라는 이름 아래 미미가꾸시와 히사시가미 스타일이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 있었다. 또한 머리카락은 투쟁과 저항, 자유의 상징이었다. 독재시절 장발을 단속하던 시절이 있었고, 학교에선 헤어에 대한 제한이 있었다. 현재는 두발자유화라고 알고 있는데 나때만 해도 두발제한이 있어서 친구들이 머리카락이 잘리는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옛 신화와 전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변화하고, 역사와 함께 해 온 헤어스타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모습과 신분, 권력, 유혹 등 각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이 책 궁금하신 분 추천합니다~

 

 

*이 책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