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무도 - 왜 우리는 호러 문화에 열광하는가
스티븐 킹 지음, 조재형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부터가 역시 만만치 않은 느낌을 풍겼다. 역시 스티븐 킹이라는 이름값은 이 시대의 최고인 것 같다. 이유는 그가 쓴 소설은 단순히 눈으로 따라가며 읽고 즐기면서 가슴에 은은히 박히는 그런 소설이 아니라 장면 장면이 어떻게 이럴수가! 라든지 어쩌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로 자신과 비교를 하며 읽게 만들기 때문이다. 물론 엄청난 상상력의 힘으로 충격을 심어주기도 한다.
쇼생크 탈출, 그린 마일 등 이미 굵직한 영화로 나와 있는 그의 작품들을 좋아해서 비디오테입을 구비해 놓고 자주 틀어 보았던 나는 <죽음의 무도>를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었고 그와 함께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의 충격을 받을 준비를 한 뒤에 읽었다. 킹은 그럴 법한 일을 가지고도 내용은 전혀 예상치 못한 크고 넓고 특별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런데 정말 상상력만으로 그런 이야기들을 쓸 수 있는 것일까가 가장 궁금했다. 정말 몽땅 머릿속에서 만들어 낸 이야기란 말인가, 개연성 있는 체험을 하거나 간접경험을 한 것을 각색한 것이 아닐까......

공포영화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흥미가 없는 나와는 달리 킹은 어린 시절부터 일명 괴물잡지로 통하는 <프랑켄슈타인의 성>을 열심히 읽었다니 정말 뜻밖이다. 미국의 출판물시장의 크기는 정말이지 상상이 되지 않을 정도인 것 같다. 아이들에게 벌써 공포, 스릴러작품을 전문으로 다룬 잡지까지 있다니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킹은 이 책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부재로 그 시간들을 공포와 스릴러 소설, 영화로 대신 채우면서 현실을 떠나 상상의 세계로 일찍부터 들어갔음을 털어 놓았다. 헤리포터로 유명해진 조앤롤링 역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 판타지소설을 썼는데 두 작가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그런데 논픽션이기 때문에 더욱 현실감이 살아 있는 이 죽음의 무도를 통해서 사람들이 왜 스릴러를 좋아하며 탐닉하는가에서 그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이 스릴러를 우리 삶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즐길 수 있는지까지도 알려주고 있어 그 생각의 깊이가 꽤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포를 즐기려는 사람의 심리까지 분석한 그의 영민함은 역시 그가 쓴 작품 가운데 어째서 이런 영역이 그토록 대중적이면서도 흥미가 있도록 쓸 수 있었는지에 대한 좋은 해답이 되었다. 단순히 사람들이 무서움에 떨며 화제거리가 되는 작품대신 그의 소설이나 영화 속 인물들이 처한 상황은 지극히 일상적인 것에서 출발한다. 자연스럽고 이해하는데 결코 어렵거나 하지 않다. 그러면서도 그 안에서 벌어지는 것은 생소하기때문에 공포스러운 것이지 잔인함이나 추함,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그런 원초적인 자극에 의해서가 아니란 점이 그의 작품의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성공한 스티븐킹의 작품이 상업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것이면서도 작품성과 예술성을 겸비했다고 평가받는 이유를 죽음의 무도를 통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시 그에게는 보통 사람들과 다른 상상력의 힘이 기본적으로 있음 역시 느낄 수 있었다. 이렇게 자신의 작품이나 작품을 즐기며 열광하는 관중들의 심리까지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그는 도대체 어떤 인물일까, 이제 정말 그가 엄청난 공포로 느껴진다.
한 줄 한 줄 농부가 모를 심듯 그렇게 글을 정성껏 노동을 다 해 써가는 많은 작가들의 노력에 비해 킹은 다방면에서 너무 쉽게 많은 양의 글을 써 온 것 같다. 아직 세상에 발표하거나 내 놓지 않은 숨겨진 이야기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논픽션이기에 조금은 건조한 듯 싶은 그의 이야기의 후반부로 갈수록 매료되는 것은 그가 자신의 작품에만 갇혀있지 않고 세상에 알려진 수 많은 작품들을 머릿 속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고 예화로 들며 수시로 비교하며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포와 도덕성, 공포와 마법은 내가 가장 수긍하며 읽은 부분인데 인간이란 참으로 오묘해서 작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알려주는 이 절묘한 대조가 진짜 가장 잘 어울리는 한 쌍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그 소름끼침, 그래서 스티븐 킹은 이름값을 하는 대단한 작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