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살림어린이 더 클래식 2
케네스 그레이엄 지음, 원재길 옮김, 로버트 잉펜 그림 / 살림어린이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가 아들을 위해 책을 읽어주었다는 말은 자주 접해보았으나 지금으로 부터 1백여 년전에 영국의 한 아버지가 자신의 병약한 아들을 위해 이야기를 지어 밤마다 잠자리에서 들려 주었다는 것은 무척이나 가슴이 훈훈해지는 이야기다.  

예전에 초등학생을 가르칠때가 있었다. 그 당시 그 아이의 아버지는 서울의 한 대학교수이자 유명한 정치인이었는데 막내로 태어난 아들을 위해 동화를 지어주었단다. 그것도 영어로 책을 써서 직접 학교의 교수실에서 만들어 온 따끈따끈한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책을 저녁 때 자기의 귀여운 아들에게 읽어주었다는 이야기를 듣고서 대단한 분이란 생각을 했었는데... 그러고보니 그 교수 역시 영국에서 유학생활을 보냈다는 것이 우연이 아닌 듯 싶다.

 교훈을 주려거나 책을 많이 팔아서 명성을 얻기 위한 기성작가들의 책이 아닌, 자신의 아들을 행복해게 해 주고 싶어서 은행원생활 가운데 시간을 쪼개 이야기를 지어 한 권의 책으로 엮은 이 놀라운 '부정' 앞에 참으로 겸허한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동화처럼 잔잔하고 아름다운 풍경대신 현실의 아버지는 사랑하는 아들을 스무 살때 영원히 잃게 되는 것 또한 실화가 주는 감동과 아픔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자극적인 스토리와 감각적인 묘사가 난무하는 요즘의 문화 속에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은 고전 중의 고전이란 생각이 든다. 귀엽고 사랑스런 네 마리의 동물들이 살고 있는 마을로 들어가보면 태어나서부터 경쟁의 전쟁터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아이들에게 참다운 세상은 어떠할까라는 의심(?),아니 의문을 품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1800년대 후반의 영국이라는 공간적 시대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오랜시간 전 세계의 어린이들을 매료시키는 이 책의 매력은 바로 '아버지의 사랑'이다. 

목가적이며 전원적인 책 안의 배경이 살벌하고 거짓이 난무하는 요즘 세태와는 전혀 딴 판이다. 동화가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완전히 빵점일 수 있지만 반대로 가장 오래된 이야기인 이 책이 충분히 판타지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갈등이 있어도  서로서로 대화를 해 가며 자신의 입장을 상대에게 인식시켜주고 상대의 수용이 가능한 세상, 두더지 모울과 물쥐 워터 래트, 두꺼비 토드, 오소리 배저아저씨가 있는 세상이 영국의 어느 습지에 분명히 있을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