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의 변명 아담의 핑계 - 고전의 숲에서 즐기는 사색의 향기
미니 지음 / 스마트북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며 드는 말이 기본으로 돌아가라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유대 격언을 통해 일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관계나 삶의 이야기들을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세상에 대한 깨달음과 삶에 대한 통찰을 얻기에 앞서 가장 기본적인 여성과 남성이라는 관계를 통해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의 확장이 점점 더 세상을 알아가게끔 해주며 결국에는 나 자신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끔 해준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 서점에 가보면 자기계발서라는 테마로 엄청난 책들이 우후죽순 나듯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흥미 위주로 짜깁기 된 책들과 처세술이라는 단어로 표현되는 단편적인 인간관계에 대한 기술을 나열한 책들이 대다수입니다. 물론 이런 상황이 역설적으로 현대인들이 얼마나 관계에 대한 갈증이 있는지 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는 단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자는 이렇게 표면적인 변화나 기술을 얻으려 노력하기보다는 오히려 정공법을 사용하여 고전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면 자신의 삶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목적을 발견할 수도 있지않겠냐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인간관계 자체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과 갈등이 상대방에게 있는 것은 잘 보이지만 자신에게 있는 경우가 오히려 보이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 첫사랑의 여자와 결혼하는 남자만큼 행운아도 없다는 글에서 이러한 부분이 더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남자가 첫사랑을 못 잊는 것이 그 여자가 엄청난 미인이거나 매력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그 여자를 순수하고 꾸밈없이 사랑하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잊지 못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라는 말을 합니다.

 얼마 전에 흥행한 건축학 개론이라는 영화에서도 이와 같은 상황이 나오는데 이러한 자기애적인 사랑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은 자신을 사랑하는 경험을 통해 사랑이라는 감정을 알게 되고 이러한 경험을 확장하여 타인이나 사회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시발점이라는 사실을 알게 해줍니다.

 최근 들어 다시금 고전이나 명작들을 읽는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은 단편적이고 인스턴트적인 관계의 기술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혹은 자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삶을 살아나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바램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 책 또한 이러한 깊이 있는 잠언들을 바탕으로 구절구절 곱씹게 만드는 좋은 글귀들이 있어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해주는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