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제퍼슨 - 독립심이 강한 아이 위인들의 어린시절
헬렌 몬셀 지음, 오소희 옮김 / 리빙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한 위인은 처음부터 위인이었을까? 위인들도 처음에는 평범한 아이들이었어. 심부름도 하고 동생도 돌봐주고 친구들과 뛰어놀았지. 때때로 잘못해서 야단 맞기도 하고. 하지만 그들은 거짓말하지 않고, 부모님 말씀 잘들으며, 맡은 일에 책임을 다했어. 자기보다 약한 자를 도와주고 동물을 사랑하고, 항상 공평하고 정직하게 행동하려고 노력했단다. 너희들도 이 책을 읽으면서 위인들의 어린 시절을 본받을 수 있어. 그러면 이 다음에 커서 누구든지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단다. 혹시 너희 중에 책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도 이 책은 단숨에 읽어버릴 거야. 위인들의 어린시절을 아주 재미있는 이야기로 쓴 책이거든. -책 뒷표지 글- '

에디슨, 세종대왕 등 이렇게 유명한 위인들이 처음부터 훌륭한 사람이 아니라는 건 알았지만 어릴 때부터 우리와 똑같이 뛰어놀고, 야단 맞았다는 것은 몰랐다.

 

[토마스 제퍼슨] 어떤 사람 이름 같아서 네이버에 검색을 해 보았다. 토마스 제퍼슨은 제 3대 대통령이고, 미국의 정치가, 교육자, 철학자이며 자유와 평등으로 건국의 이상이 되었던 1776년 7월 4일 독립선언문의 기초위원이었다.

이렇게 토마스 제퍼슨에 대한 것을 미리 알고 난 후 책을 읽으려고 펼쳤다. 책 앞 표지를 넘겨보면 토마스 제퍼슨이 한 일이 나와 있어서 깜짝 놀랐다. ‘여기에 설명이 적여 있을 줄은 몰랐는데.’ 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차례는 1. “우리 집 기억 안 나?”, 2. 어떻게 하면 점심시간이 빨리

‘튼튼한 육체에 훈련된 정신.’ 이 한마디가 나에게 감동을 줬다. 아무리 육체가 튼튼해도 정신이 없으면 안된다. 모든 학생에게는 훈련된 정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반대로 훈련된 정신이 있는데 육체, 몸이 튼튼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는 것이다. 둘 중 하나라도 안 되면 안 되는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육체를 가꾸어 나가면서 정신까지 함께 가꾸어 나가라는 뜻이다.

 

어른들과 아이들 상관없이 읽어도 좋은 책인 것 같고, 맨 뒷장에 책 읽은 기억을 한 번에 다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질문이 써져 있어서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