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표 내 친구 꽃보다 아름다운 우리
권타오 지음, 장연주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호킹, 헬렌 켈러. 두 사람의 공통점을 아세요? 바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입니다.

이승복, 마이클 펠프스, 돌턴. 이분들도 모두 장애를 뛰어넘은 사람입니다.

이 책에 나오는 창우도 다운증후군 장애를 가진 어린이입니다. 하지만 여러분과 하나도 다를 게 없어요. 여러분과 똑같이 꿈을 키우고 피자를 좋아하고, 노는 것도 좋아한답니다.

다운증후군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체질과도 같은 걸요. 아토피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있고, 땀이 많이 나는 친구가 있듯이 말이에요. -작가의 말 중-

이 책은 다운증후군 장애를 가진 친구들과 다른 학교의 친구들이 ‘다운증후군 친구 만들기 여름학교’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친구를 만드는 내용이다.

다운증후군이라면 무슨 병이 있는 장애인이라고 어린이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생각을 버리게 해주는 것이 이 책인 것 같다.

차례는 1. 베토벤의 키스, 2. 달리는 구구단, 3. 염색체 보너스, 4. 다운증후군도 할 수 있어, 5. 미사일처럼, 6. 천사표 내 친구로 되어 있다.

강토는 ‘다운증후군 친구 만들기 여름학교’에서 잘하면 스마트폰으로 바꿔 준다는 말에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갔다.

거기에서 선생님은 다운증후군 친구들과 친해지는 법을 두 가지 알려 줬다.

“우선 복지관 친구들이 다우증후군 장애아라는 사실은 지금 당장 잊어버리세요. 다만 그들이 다운증후군 장애를 가졌다는 사실만은 기억해 주세요.

그들은 여러분과 조금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태어났어요. 그러니 다운증후군 친구들이 약간 느리거나 서툴더라도 여유를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선생님은 여덟 가지 색의 옷을 준비해서 아이들에게 입혔다. 그러고는 짝을 지었다. 같은 색깔 옷을 입은 사람이 짝궁이라 했다. 갑자기 어떤 애가 강토를 껴안았다. 그 애의 이름은 김창우였다.

맨 처음 강토는 창우랑 싸우느라 바빴다. 침대 위치 때문에 싸우고, 이름 때문에 싸우고, 아침 인사 뽀뽀 때문에 싸웠다. 하지만 강토는 조금씩 바뀌어가기 시작했다. 마지막 날, 강토는 창우와 완전히 친해졌다.

다운증후군을 가진 친구랑 우리는 다른 점이 없다. 아이들도 교육으로 다 배웠을 것이다. 하지만 몇몇 아이들은 배웠어도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확실히 알았으면 좋겠다. 다운증후군을 가진 친구들, 장애를 가진 친구들과 우리는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