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갈고 닦는 예절 동자례 - 조선 시대 어린이 예절 책 우리 고전 생각 수업 1
서신혜 글, 김경신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장유유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질서가 있어야 한다. 즉, 아이들은 어른에게 예절을 지켜야 한다 라는 뜻이다. 하지만 지금의 아이들은 예절을 지키기는 커녕 대든다. 이 책은 아주 오래전에 있었던 우리 조상들의 예절이 담긴 책이다. 어른들은 맨날 예절을 지켜라! 라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자신을 갈고 닦을 수 있는 예절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생각했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차례는 예절을 만나다, 예절을 몸에 익히다, 예절에 정신을 깃들이다, 그리고 예절을 생각하다로 나뉘어진다.

예절을 만나다 에서는 옷 입거나 절하는 예절들이 나오고, 예절을 몸에 익히다 에서는 않거나 서거나 걷는 예절들이 나오고, 예절에 정신을 깃들이다 에서는 말하거나 보고 듣는 예절 들이 나오며, 예절을 생각하다 에서는 효도하는 예절들이 나온다.

맨 처음 서거나 걷는 예절이 있는 줄 몰랐다. 하지만 계속 읽다 보니 서거나 걷는 예절에는 이런 것들이 있었구나 라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그 내용에 맞고 다른 나라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글이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다. 여기에서 배운 것이 몇 가지 있다.

말을 할 때에는 잘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이 보고 배우기 때문이다. 또, 걷을 때에는 조용히 걷는다.

이 두가지를 알게 되었다. 이렇게 예절을 알게 되면 나중에 쓰게 될 것이고, 예절이 바르다고 칭찬을 받게 되면 기분이 좋아진다. 예절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바르게 행동해서 바른 사람이 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