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반반 솜사탕 소원저학년책 6
김진형 지음, 홍그림 그림 / 소원나무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조각 남은 솜사탕을 두고 벌어진 소동이, 이렇게 깊은 여운을 줄 줄은 몰랐다. 《반반 솜사탕》은 그저 "누가 마지막 솜사탕을 먹게 될까?"라는 가벼운 이야기처럼 시작되지만, 점점 감정의 깊은 결을 따라가게 만든다.

솜사탕 하나를 두고 친구들이 다투는 장면은 얼핏 단순해 보인다. 하지만 책장을 넘길수록, 이 작은 다툼 안에 얼마나 다양한 감정과 성격의 차이가 얽혀 있는지 알게 된다. 이 책은 단순한 우정 이야기가 아니라, ‘감정을 어떻게 말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대한 이야기다.


고람이, 토리, 두비. 세 친구는 참 다르다. 고람이는 자기주장이 강해서 화를 내기 쉽고, 토리는 옳고 그름이 확실해서 융통성이 없다. 두비는 속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해서 늘 조용하다. 이 아이들의 모습은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낯설지 않다. 그리고 이 책은 그 다름을 탓하지 않는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긴 갈등을 어떻게 조율할 수 있는지, 서로의 표현 방식을 어떻게 존중해야 하는지를 아이들 눈높이에서 아주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말이 없던 두비가 용기를 내어 속마음을 털어놓는 장면이다. 고민을 말하는 게 왜 그렇게 어려운지, 말하지 못한 마음을 혼자 얼마나 많이 삼켰는지, 그 장면에서 고스란히 전해진다. ‘용기’라는 건 꼭 큰일을 해내는 게 아니라, 내 마음의 작은 조각 하나를 누군가에게 건네는 일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그걸 참 따뜻하고 부드럽게 보여준다.


홍그림 작가의 그림은 이 이야기에 딱 어울린다. 폭신폭신한 솜사탕처럼, 아이들의 감정을 말없이 감싸주는 그림들이다. 숲속 벼룩시장도 정말 생생하고 사랑스럽게 그려져서, 마치 책 속 세상으로 들어간 기분이 들 정도다.


《반반 솜사탕》은 결국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는 듯하다.
“친구와 마음을 나누는 건, 솜사탕을 나누는 것처럼 달콤한 일이야.”
그 말은, 어쩌면 아이들보다 우리 어른들에게 더 필요한 말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남자의 정원 - 회복
지은 지음, 한요 그림 / 나비날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살다 보면 어떤 위로도 쉽사리 들어오지 않는 시기가 있다.
몸이 먼저 반응하고, 마음은 뒤처지고, 아주 사소한 일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나날.
『그 남자의 정원』은 그런 시간 속에 있는 이들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가는 책이다.


주인공은 한때 소설을 쓰던 남자다.
지금은 번아웃과 육체적 부상, 가족의 부재, 연인의 이별 등 삶의 여러 파도에 휩쓸린 채 무기력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그런 그의 일상에 제주도에 사는 동생이 구해준 ‘도우미 할머니’가 들어온다. 그리고 할머니는 말없이, 그러나 정성껏 베란다 정원을 가꾸기 시작한다.

이 책은 그 정원에서 피어나는 초록의 생명들, 그리고 그 생명을 바라보며 조금씩 되살아나는 주인공의 감각을 아주 천천히, 조심스럽게 따라간다.

그 변화는 눈에 띄게 크거나 극적이지 않다. 오히려 느리다.
하지만 그 느림이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이기도 하다.
우리는 너무 빠르게 괜찮아지기를 바라지만, 이 책은 말한다.
“천천히, 천천히.” 그리고 그것으로도 충분하다고.


정원은 단순히 식물이 자라는 공간이 아니다.
그곳은 잊고 있던 감정이 다시 피어나고, 오래된 그리움이 온기를 되찾는 회복의 장소다.
한 장 한 장 넘길수록, 그 베란다 정원에 머무는 ‘시간’이 우리 마음에도 옮겨온다.


책을 덮고 나서 가장 오래 마음에 남았던 문장이 하나 있다.
“나는 회복하는 중이야. 너는 괜찮니?”

그 문장은 단지 주인공의 독백이 아니라,
이 책을 읽는 우리 모두에게 건네는 조용한 안부 같았다.

마치 함께 걷자고 손을 내미는 듯한, 그런 초대처럼 느껴졌다.


『그 남자의 정원』은 소란스러운 위로 대신,
한 걸음 떨어진 자리에서 바라봐주는 조용한 시선의 책이다.
지금 우리 곁에, 위로를 기다리는 누군가가 있다면 이 책을 건네보길 바란다.

천천히, 천천히, 다시 피어나는 삶의 온기를 함께 느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