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ㅣ 조선시대 생활사 3
한국고문서학회 엮음 / 역사비평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얼마전 나온 따끈따끈한 신간을, 사람들도 관심이 많은가보다. 리뷰 좀 간만에 써볼까했더니 벌써 두 개나 올라와 있다. 음... 참도 빠른 사람들.
여튼 책은 마음에 들었다. 전작으로 이어진 조선시대 생활사 1, 2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라 말하기도 부족한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으니 말이다. 그건 아마도 그동안 출판의 환경이 꽤나 발전했구나 하는 감상과 맥을 같이하고도 있지만, 화인열전을 제외하고 비주얼 면에서 좀 떨어지는 감도 없잖아 있던 역사비평사가 제대로 된 책을 냈다니... 하는 감회와도 얼마는 연동된다.
책에 별 다섯까지 줄 거야 없었는데, 맨 아래 사람이 쓴 리뷰를 읽다보니 그 반동으로 다섯을 주었다. 아무리 그래도 별 하나를 주다니. 진짜로 별 하나 받아야 할 책에 대한 모독이라고 느껴지기까지도 하고, 뭐 개인적 취향에 따른 별점이라지만, 별 둘이나 셋도 아닌 하나라는 것에 대한 반동이 작용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실은 별 4개를 주려고 했었음)
나 또한 물론 고문서학회에서 좀더 다양한 고문서를 활용하고, 재미난 이야기들이 좀더 많이 담겨 있었다면 하고.. 기타 등등 아쉬운 마음이 없는 건 아니다. 이덕무의 글과 같이 얹은 머리가 무거워 목 부러진 어린 신부 이야기 같은 글이 많았으면 하지만, 뭐 개인적으로 욕심이 별로 없는 관계로 이 정도로도 만족을 한다. 기존 조선시대 생활사 1.2를 읽은 사람으로, 월야선유도 같은 도판이 네 페이지에 걸쳐 크게 들어가고 이래저래 좋은 그림들을 접할 수 있어서 말이다.(참고로 이거 찢어서 책상 옆에 붙여놓고 싶었지만 책을 찢을 수는 없어 참았다. 이런 마음을 헤아려 이런 걸 사은품 같은 거로 나눠주는 이벤트 행사 같은 것도 좀 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마음이다. )
책이라는 게 한 권만의 역사를 가지는 건 아니라고 본다. 앞선 책들에 영향도 받고 뒤에 나올 책에도 영향을 주고 그러는 거라고 볼 때 이 다음에 나올 조선시대 생활사 4권이 기다려지는 건 아마 기존 두 권의 책 독자라면 같은 생각이 아닐까 한다.
여튼, 한번쯤 볼 만한 책이라는 데 난 한 표 던진다.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