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사토 마나부 지음, 손우정.신지원 옮김 / 에듀니티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에듀니티, 2016...

배움의 공동체를 주창한 사토 마나부의 소책자 세 권을 묶어 번역 출판한 책.1부 학교개혁을 말하다...는 일본에서 2012년 나온 글... 부제 '배움의 공동체의 구상과 실천'이 알려주듯 배움의 공동체의 비전과 철학, 활동시스템 등을 다시 잘 정리해 주고 있다. 협동적인 배움에 의한 수업개혁... 협력적인(cooperative) 수업과 협동적인(collaborative) 수업의 차이를 설명하는 부분과 '서로 가르치는 관계'와 '서로 배우는 관계'의 차이, 또 '서로 이야기하기'와 '서로 배우기'의 차이를 이야기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그 전에 배움의 공동체에 관한 사토 교수의 글을 읽었지만 이에 대한 설명을 못들었던 것 같은데, 이 부분이 설명이 새삼 와 닿네.
2부 수준별 지도를 말하다...는 일본에서 2004년에 나온 소책자의 글... 수준별 지도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이미 실패한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하는데 동아시아에서는 여전히 위력을 떨치고 있음을, 아니 그러면서도 사실 그 해독을 알기에 소극적으로 적용하고 있음을 비판. 수준별 지도가 그 해독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 능력에 따른 지도가 그래도 효과가 있지 않겠냐는 상식적인 이해 때문에 쉽게 극복되지 않는 현실. 대안은? 역시 사토 교수답게 '협동적인 배움'에서...
3부 학력을 묻는다...는 일본에서 2001년에 나온 소책자의 글... 요즘 우리에게 새삼 기초학력저하가 이슈가 되고 있어 더 다가오는 글이네. 학력이란 말의 혼란, 한자어에서 힘 력 때문에 오는, 그래서 영어 achievement(학습에 의한 도달)로 정의하며, 기초학력저하 문제가 보수 세력에 의해 논쟁화된 결과가 가져오는 역사적 폐해 등도 비판. 기초학력을 basic skill이 아닌 literacy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과 복고주의적 대책들의 문제 비판을 넘어. 역시나 ''공부'가 아닌 배움'에서 논의를 새로 시작해야 함을 역설...

2000년대 초반 일본의 교육 상황들을 보고 있노라면, 지금도 계속 악화되고 있는 듯하지만, 학교와 교사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고 이것이 어떻게 교육을 황폐화하는지가 딱 우리네 현실과 맞닿아 있음을 본다. 이게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게 위안인지...그래도 사토 교수의 희망을 가꾸기 위한 실천들 속에서 냉소와 자조와 좌절을 넘어설 길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